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한시의 맛 1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시의 맛 1
정가 ₩26,000
판매가 ₩23,4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문헌재
ISBN 9791196561833
출간일 20190109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시의 맛 1 수량증가 수량감소 234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율시(律詩)의 구성을 근본적으로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아울러 날이 갈수록 율시 창작이 성행하는 오늘날, 올바른 창작 방법을 익히는 데 도움을 주려는 목적에서 해설을 가미했다. 제1장에서는 율시 구성의 기본 원칙과 용어를 해설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창작 방법을 제시했다. 제2장에서는 율시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대장 표현과 요구 및 구요 방법을 분석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율시의 형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표현하는가
율시 변화의 시대적 특징 | 율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오언율시(五言律詩)의 작법 | 칠언율시(七言律詩)의 작법 | 요구(拗句)와 구요(救拗) 방법 | 칠언율시의 평/측 안배와 2/4/6 부동 | 율시의 대장(對仗) | 대장의 금기 사항인 합장(合掌) | 율시 작법의 유의점 | 율시의 평가 기준

제2장 율시의 대장과 요체를 밝히다
野望 들판에서 바라보다 | 送杜少府之任蜀州 두 소부가 촉주의 관리로 임용되어 전송하다 | 在獄詠蟬 감옥에서 매미를 노래하다 | 正月十五夜 정월 십오일 밤 | 送魏大從軍 위대의 종군을 전송하며 | 度荊門望楚 형문을 지나 초나라를 바라보다 | 和晉陵陸丞早春遊望 진릉 육승의 〈조춘유망〉에 화답하다 | 登襄陽城 양양성에 올라 | 夜宿七盤嶺 칠반령에서 숙박하다 | 獨不見 애태우며 그리워해도 볼 수 없으니 | 望洞庭湖贈張丞相 동정호를 바라본 모습을 시로 지어 장 승상에게 보내주다 | 晩泊?陽望香爐峰 저녁 무렵 심양에 정박하여 향로봉을 바라보다 | 題大禹寺義公禪房 대우사 의공의 선방에서 쓰다 | 山居秋暝 산속의 초가을 저녁 무렵 | 酬張少府 장 소부의 (시에) 답하다 | 積雨輞川莊作 장마 계속되는 망천장에서 짓다 | 冬晩對雪憶胡居士家 겨울밤 눈을 대하고 호 거사의 집을 추억하며 | 題破山寺後禪院 파산사 후원의 선원에 대해 쓰다 | 望?門 계문성을 바라보다 | 望秦川 진천을 바라보며 | 望魏萬之京 위만이 있는 장안을 바라보다 | 行經華陰 화음현을 지나며 | 訪戴天山道士不遇 대천산의 도사를 방문했으나 만나지 못하고 | 渡荊門送別 형문을 건너 (고향과) 이별하다 | 宿五松山下荀?家 오송산 아래 순 부인 집에서 묵다 | 登金陵鳳凰臺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 | 塞下曲 변경의 노래 | 鸚鵡洲 앵무주 | 別馮判官 풍 판관과 이별하며 | 同王征君湘中有懷 왕 징군의 〈상중유회〉에 화답하다 | 狂夫 미친 사내 | 恨別 한스러운 이별 | 送路六侍禦入朝 노육시어의 입조를 전송하며 | 白帝城最高樓 백제성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누각 | 宿贊公房 찬공의 선방에서 묵다 | 春夜喜雨 봄밤에 내리는 기쁜 비 | 水檻遣心 강변 정자에서 마음을 달래다 | 秋興 1 가을의 흥취 1 | 秋興 2 가을의 흥취 2 | 秋興 3 가을의 흥취 3 | 秋興 4 가을의 흥취 4 | 秋興 5 가을의 흥취 5 | 秋興 6 가을의 흥취 6 | 秋興 7 가을의 흥취 7 | 秋興 8 가을의 흥취 8 | 詠懷古跡 1 그리운 고인의 발자취를 읊다 1 | 詠懷古跡 2 그리운 고인의 발자취를 읊다 2 | 詠懷古跡 3 그리운 고인의 발자취를 읊다 3 | 詠懷古跡 4 그리운 고인의 발자취를 읊다 4 | 詠懷古跡 5 그리운 고인의 발자취를 읊다 5 | 春思 봄의 그리움 | 春日?事 봄날에 느낀 바를 쓰다 | 送李中丞歸漢陽別業 이 중승이 한양의 옛집으로 돌아갈 때 전송하며 | 長沙過賈誼宅 장사 지방에서 가의의 저택을 들러 | 淮上喜逢梁州故人 회수에서 양주의 오랜 친구를 만나 기뻐하다 | 自鞏洛舟行人黃河卽事寄府縣僚友 공현의 낙수로부터 배를 타고 가는 행인이 황하에서의 일에 대해 부현에 근무하는 친구에게 부치다 | 晩次鄂州 저녁때 악주에서 | 雲陽館與韓紳宿別 운양관에서 한신과 숙박한 후 이별하다 | 喜見外弟又言別 사촌동생을 만나 기뻐하는데, 또 이별을 말하다 | 除夜宿石頭驛 섣달 그믐밤 석두 역에서 숙박하다 | 答張十一功曹 장 공조의 시에 답하다 | 左遷至藍關示侄孫湘 좌천으로 남관에 도착하여 질손인 한상에게 알리다 | 別舍弟宗一 동생 종일과 이별하며 | 松滋渡望峽中 송자도에서 무협을 바라보며 | 西塞山懷古 서새산에서 옛날을 회고하다 | 酬樂天揚州初逢席上見贈 백거이와 양주에서 처음 만난 자리에서 나에게 보내준 시에 화답하다 | 遣悲懷 1 (아내를 잃은) 슬픔과 그리운 감정을 달래다 1 | 遣悲懷 2 (아내를 잃은) 슬픔과 그리운 감정을 달래다 2 | 遣悲懷 3 (아내를 잃은) 슬픔과 그리운 감정을 달래다 3 | 錢塘湖春行 전당호로 봄나들이 가다 | 西湖晩歸回望孤山寺贈諸客 서호에서 저녁에 돌아가면서 고산사를 바라보며 여러 손님들에게 주다 | 鸚鵡 앵무새 | 題李凝幽居 이응의 그윽한 거처에 대해 쓰다 | 題宣州開元寺水閣,閣下宛溪,夾溪居人 선주 개원사 누각과 누각 아래의 완계와 협계에 사는 사람들에 대해 쓰다寒雁 겨울 기러기 | 九日齊山登高 중양절에 제산의 높은 곳에 올라 | 咸陽城西樓晩眺 함양성 서쪽 누각에 올라 저녁 경치를 바라보다 | 金陵懷古 금릉 시절을 회고하다 | 咸陽城東樓 함양성 동루 | 安定城樓 안정성 누각 | 隋宮 수궁 | 無題 무제 | 長安晩秋 장안의 늦가을에 | 過陳琳墓 진림의 무덤을 지나며 | 楚江懷古 1 초강회고 1 | 楚江懷古 2 초강회고 2 | 貧女 빈녀 | 詠手 (여인의) 손을 노래하다 | 春盡 봄은 끝나는데 | 春宮怨 봄이 되어도 (총애받지 못하는) 궁녀의 원망 | 送友遊吳越 친구와 오, 월 지방을 유람한 후 전송하며 | 村行 마을 길 | 訪楊雲卿淮上別業 양운경의 회하 근처 별장을 방문하다 | 春日登樓懷歸 봄날에 누대를 올라 돌아갈 곳을 그리워하다 | 宿洞?宮 동소궁에 묵다 | 山園小梅 1 산속 정원에 갓 핀 매화 1 | 山園小梅 2 산속 정원에 갓 핀 매화 2 | 金鄕張氏園亭 금향현 장씨 집안의 정원 정자에서 | 魯山山行 노산 산행 | 小村 작은 마을 | 秋懷 가을날의 정회 | ?答元珍 재미 삼아서 원진에게 답하다 | 半山春晩卽事 반산에서 늦은 봄을 맞아 생각나는 대로 쓰다 | 思王逢原 왕봉원을 그리며 | 示長安君 (시로써 누이동생) 장안군에게 알려주다 | 金陵懷古 금릉에서 옛날을 회상하다 | 西湖春日 서호의 봄날 | 和子由?池懷舊 자유와 지난날 면지에서의 일을 추억하다 | 有美堂暴雨 유미당에서 폭우를 만나다 | 新城道中 1 새로운 성으로 부임해 가는 도중에 1 | 新城道中 2 새로운 성으로 부임해 가는 도중에 2 | 病中遊祖塔院 병중에 조탑원을 거닐다 | 霽夜 비 그친 밤 | 過平輿懷李子先時在幷州 평여를 지나면서 이자선이 병주에서 벼슬할 때를 회고하며 | 次元明韻寄子由 형님 원명이 사용한 운자로 시를 지어 자유에게 부치다 | 登快閣 쾌각에 올라 | 寄黃幾復 (죽마고우) 황기복에게 부치다 | 題落星寺 낙성사에 대해 쓰다 | 除夜對酒贈少章 제야에 대작하며 소장에게 지어주다 | 春懷示隣里 봄날의 그리움을 써서 이웃사람에게 보여주다 | 春日郊外 봄날의 교외 | 夜泊寧陵 밤에 영릉에 정박하다 | 春日卽事 봄날에 느끼어 쓰다 | 寓居吳興 오흥에 우거하다 | 發宜興 의흥을 떠나다 | 傷春 봄날을 슬퍼하다 | 試院書懷 과거 시험장에서 회포를 쓰다 | 對酒 술을 마시며 | 道間卽事 길 가던 도중의 일을 쓰다 | 遊山西村 산 서쪽의 마을을 유람하다 | 臨安春雨初霽 임안 지방에 봄비 내린 후 방금 개다 | 書憤 분한 마음을 쓰다 | 夜泊水村 밤에 배를 강가의 마을에 정박시키다 | ?泊 저녁에 정박하다 | 初歸石湖 비로소 석호로 돌아와서 | 鄂州南樓 악주 남루 | 過楊村 양촌을 지나며 | 和仲良春晩卽事 중랑의 〈봄날 저녁〉 시에 대해 느낀 바로써 화답하며 | 登多景樓 다경루에 올라 | 過零丁洋 영정양을 지나며 | 金陵驛 1 금릉역 1 | 金陵驛 2 금릉역 2 | 杜鵑花得紅字 두견화에서 홍 자를 얻다 | 黃鶴樓 황학루 | 崔氏東山草堂 최씨 동산초당 | 壽星院寒碧軒 수성원 한벽헌

운서(韻書)
참고문헌

저자소개

성기옥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