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한국 산문선 : 근대의 피 끓는 명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국 산문선 : 근대의 피 끓는 명문
정가 ₩22,000
판매가 ₩19,8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민음사
ISBN 9788937415777
출간일 20200110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국 산문선 : 근대의 피 끓는 명문 수량증가 수량감소 198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한국 산문선: 근대의 피 끓는 명문』이 2020년 새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우리나라의 고전 명문을 총망라해 각종 매체의 주목과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한국 산문선』(전 9권)의 특별편이다. 우리 고전의 부흥을 이끌고 있는 안대회, 이현일, 이종묵, 장유승, 정민, 이홍식 6인의 한문학자가 이번에는 20세기의 명문 39편을 엮고 옮겼다. 외세 침략으로 시작된 격동의 시대, 낡은 조선을 새로운 나라로 바꿔 나간 ‘대한 사람’의 시대정신이 약동하는 뜨거운 문장들을 만난다.

목차

책을 펴내며
해제 대한의 나라를 세운 문장

1부 근대의 격랑
김윤식(金允植) 국내 모든 백성에게 알리노라(曉諭國內大小民人(壬午))
지석영(池錫永) 현재의 시급한 대책(幼學池錫永上疏)
김창희(金昌熙) 나라의 미래를 생각하다(六八補上篇)
민영환(閔泳煥) 청나라 변법의 실패와 조선(淸國戊戌政變記序)
이남규(李南珪) 역적의 토벌을 청하는 상소(請討賊?)
변영만(卞榮晩) 『20세기의 대참극 제국주의』 서문(二十世紀之大慘劇帝國主義自敍)
유인석(柳麟錫) 온 나라 동포에게(與一國同胞)
안경수(安?壽) 독립협회서(獨立協會序)
장지연(張志淵) 오늘 목 놓아 통곡하노라(是日也放聲大哭)
이승만(李承晩) 독립정신 총론(춍론)
안중근(安重根) 『동양평화론』 서문(東洋平和論序)
최남선(崔南善) 3·1 독립선언서(宣言書)

2부 급변하는 사회
서재필(徐載弼) 독립신문 발간사(논셜)
주시경(周時經) 우리말 사용법(國文論)
손병희(孫秉熙) 세 가지 전쟁(三戰論)
최남선(崔南善) 일어나라 청년들아(奮起?라 靑年諸子)
김문연(金文演) 소설과 희대의 효용(小說과 戱臺의 關係)
이광수(李光洙) 문학의 가치(文學의 價値)
신기선(申箕善) 신학문과 구학문(學無新舊)
이기(李沂) 도끼로 찍어 없애야 할 것(一斧劈破)
우리나라 지도에 대하여(大韓地圖說)
김하염(金河琰) 시급한 여자 교육(女子敎育의 急先務)
김옥균(金玉均) 조선에 주식회사를(會社說)
도로 건설이 먼저다(治道略論)
신채호(申采浩) 하늘의 북(天鼓創刊辭)
김성희(金成喜) 서구 종교와 유교의 차이(敎育宗旨續說)
안확(安廓) 조선의 미술(朝鮮의 美術)
여병현(呂炳鉉) 과학이란 무엇인가(格致學의 功用)

3부 난세의 인물상
김택영(金澤榮) 내가 이처럼 어리석었던가?(黃玹傳(壬子))
유길준(兪吉濬) 이루지 못한 김옥균의 꿈(金公玉均墓碣(代人作甲辰))
이건승(李建昇) 어찌 일본의 백성이 되리오(耕齋居士自誌(戊午))
안중근 의사의 전기(安重根傳)
민영환(閔泳渙) 대한의 자유와 독립을 회복하라(警告韓國人民)
대한의 자유와 독립을 도와라(各公館寄書)
윤희구(尹喜求) 바보 같은 사내의 울음(于堂生傳)
변영만(卞榮晩) 단재 신채호의 전기(丹齋傳)
정인보(鄭寅普) 빗돌에 새긴 슬픔(海鶴李公墓誌銘)
세상을 구하는 것이 지식인의 본분(蘭谷李先生墓表)
나라 잃은 백성의 슬픈 시(苔岑會心集序)


원문
한국 산문선 전체 목록

저자소개

서재필 , 안대회, 이현일, 이종묵, 장유승, 정민, 이홍식

출판사리뷰

시일야방성대곡에서 독립선언서까지,
세계 질서가 변화한 격동의 20세기
낡은 조선을 새로운 나라로 바꾼
‘대한 사람’의 찬란한 문장 39편


1866년, 프랑스가 강화도를 침입한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이로부터 신미양요, 강화도 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개혁과 동학 농민 운동 등의 큰 사건들이 잇따랐다. 1897년 조선은 대한 제국으로 이름을 바꾸었지만, 결국 을사늑약을 거쳐 국권이 피탈되기에 이른다. 그런데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사건 속에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고난의 시기에 ‘조선 사람’은 ‘대한 사람’으로 바뀌었다. 대한 사람은 낡은 조선을 개혁해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 낼 생각에 골몰했다. 조선이 문명개화의 대열에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다투어 명문을 쏟아냈으니, 새해 벽두에 소개하는 『한국 산문선: 근대의 피 끓는 명문』은 이 대한 사람의 글을 모았다. 시일야방성대곡에서 독립선언서까지, [독립신문] 발간사에서 안중근전까지. 익숙한 명문에서 새로 발굴한 기사까지 모두 39편을 여섯 명의 한문학자가 정확하게 옮기고 간명하게 해설했다.

2020년에 읽는 백여 년 전 사람들의 글은 예상보다도 치열하며, 놀랍도록 솔직하다. 평화와 정의를 배반한 일제를 준엄하게 비판하면서도 ‘남의 파괴가 아니라 자신의 건설’을 목표로 삼는 태도가 치열하며, 조선의 구습과 폐단을 낱낱이 인식한 필적이 솔직하다. 무엇보다 대한 사람들은 과거의 잘못에 머물지 않고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청나라 사람에게 묻고, 일본에서 유학하고, 서양의 신학문을 도입하는 데 지식과 자원을 총동원했다.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대한 제국의 개혁 의지가 꺾인 것은 도도한 역사이지만, 그 과정에서 대한을 근대 국가로 만들고자 한 내부의 활발한 움직임이 있었음을 잊을 수 없다. 그리하여 대한민국의 정문을 열어젖힌 3. 1 운동의 역량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한국 산문선』은 고대로부터 근대까지 한문으로 된 명문을 뽑고자 한 기획에서 비롯하였다. 그러나 대한 제국기 격랑의 근세사를 몸으로 겪은 대한 사람의 피 끓는 명문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아 있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난 지 이제 백 년이다. 나라는 사라졌어도 사람과 정신은 사라지지 않아 대한 독립을 외치며 들고일어났다. 그 점에서 3·1 운동은 국민이 주인 되는 근대 국가 대한민국의 정문을 열어젖힌 획기적 사건이었다. 이를 기리는 동시에 남아 있던 아쉬움을 달래고자 백여 년 전후의 명문을 골라 현대의 문장으로 소개하였다. ‘대한 사람’의 시대정신이 글 한 편 한 편마다 약동하는 것을 느끼면서 이렇게 『한국 산문선』의 별권을 낸다. ─ 해제 중에서

‘음슴체’와 ‘말모이’의 기원에서
조선 사람의 ‘헬조선’ 비판까지
처음으로 만나는 근대의 문장들


오늘날 인터넷에서 자주 보는 ‘음슴체’가 [독립신문]에서 처음 쓰였다는 사실을 아는가? 영화 「말모이」에 나온 우리말 사전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이른바 ‘헬조선’ 비판은 조선 사람들이 원조라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 있는가? ‘삼일천하’로 기억되는 김옥균은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을까?

1876년 최초의 한글 신문 [독립신문]의 발간사를 쓸 때 서재필의 고민은 문장을 어떻게 끝낼 것인가였다. 지금이야 평서형 종결어미는 ‘-다’로 통일되었지만, 예부터 내려온 한문에서 당시의 국한문 혼용체까지 ‘-하여, -하노니, -건대, -이라’ 하는 기나긴 옛투가 주였던 것이다. 고심 끝에 서재필은 명사형 종결을 택했으니 “이 신문은 오직 조선만 위한다는 것을 알 것이요, 이 신문을 통해 내외 남녀 상하 귀천이 모두 조선 일을 서로 알 것임.”이라는 음슴체가 본문에서 보인다. 그리고 서재필과 함께 《독립신문》을 편집하며 국문 표기를 깊이 탐구한 주시경의 「우리말 사용법(國文論)」은 2019년 개봉한 영화로도 널리 알려진 국어사전 『말모이』의 배경을 이룬다.

한편 조선 사람은 누구보다 먼저 ‘헬조선’을 비판하고 있었다. “쓸데없는 겉치레가 너무 많고 쌓여 있는 폐단이 극심하다.”(안경수 「독립협회서(獨立協會序)」), “익숙하게 보던 것이 아니면 곧장 배척한다.”(이기 「도끼로 찍어 없애야 할 것(一斧劈破)」), “우리나라 현재의 참상을 따져 보면 그 원인은 여자를 교육하지 않은 데 있다.”(김하염 「시급한 여자 교육(女子敎育의 急先務)」) 등등 지금 보기에도 신랄하고 또 유효한 비판들이 줄짓는다. 끝으로 김옥균은 어떤 사람이었는가? 성패의 관점에서 보자면 쓸쓸한 죽음으로 끝났지만, 뜻의 관점에서는 그가 후대에게 끼친 영향을 말할 수 있다. 유길준이 김옥균의 명문에 새긴 대로다. “비상한 재주를 지니고 비상한 때를 만나 비상한 공이 없이 비상하게 죽었다.”

『한국 산문선: 근대의 피 끓는 명문』은 이처럼 백 년 전 우리글을 직접 읽는 재미와 의미를 선사하며, 2020년 새해를 맞아 나의 기원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1부 ‘근대의 격랑’에서는 ‘개화’와 ‘독립’이 키워드인 글들에서 일본은 물론 모든 외세에 예속되지 않으려 한 시대정신을 만날 수 있다. 2부 ‘급변하는 사회’는 학문과 예술, 과학과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각자들이 제시한 구체적인 대처 방안을 실었다. 3부 ‘난세의 인물상’은 책에서 가장 문학적인 부분이니 황현, 김옥균, 이건승, 안중근, 민영환, 신채호 등 불우한 시대의 영웅 또는 개인의 내밀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우리 시대의 한문학자 6인이
엄정한 선별, 유려한 번역으로 세운
한국 산문의 모범

신라부터 조선 말기까지 망라한
최대 규모의 한국 명문 선집
『한국 산문선』 시리즈


삼국 시대에서 20세기까지 전 시대를 망라하는 『한국 산문선』은 조선 초기 서거정의 『동문선』 이후로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산문 선집이다. 『동문선』이 조선의 성대한 문운(文運)을 보이기 위한 국가사업이었다면, 『한국 산문선』은 바로 지금 이곳의 독자를 위한 기획이다. 선집 편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바로 선(選)이니, 옮긴이들은 방대한 우리 고전 중에서도 사유의 깊이와 너비가 드러나 지성사에서 논의되고 현대인에게 생각거리를 제공하는 글을 선정했다.

각종 문체를 망라하되 형식성이 강하거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은 배제했으며 내용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부드러우면서도 분명하게 읽히도록 우리말로 옮기고, 작품의 이해를 돕는 간결한 해설을 붙였다. 본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석을 권말에 두었으며 교감한 원문을 함께 실었다. 그리고 권두의 해제로 각 시대 문장의 흐름을 조감해 볼 수 있도록 했다. 기획에 참여한 한문학자들의 역량과 더불어 그동안 축적된 국문학·한문학계의 연구 성과에 힘입은 대작이다. 2017년 전 9권 완간 이후로 2020년 출간되는 이번 특별편은 1부 안대회·이현일, 2부 이종묵·장유승, 3부 정민·이홍식이 나누어서 작업했다.

『한국 산문선』의 구성

1 우렛소리 이규보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신라와 고려 시대 - 우리 산문사의 고동과 출항

2 오래된 개울 권근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조선 초기에서 중종 연간 - 세상과 나를 다스리는 글쓰기

3 위험한 백성 조식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명종과 선조 연간 - 학문의 시대 지식인의 문장

4 맺은 자가 풀어라 유몽인 외 | 정민·이홍식 편역
선조와 인조 연간 - 문운 융성과 산문의 새로운 문법 제시

5 보지 못한 폭포 김창협 외 | 정민·이홍식 편역
효종과 숙종 연간 - 산문의 이론적 모색과 넓어진 스펙트럼

6 말 없음에 대하여 이천보 외 | 정민·이홍식 편역
영조 연간 - 작가층의 저변 확대와 다층적 시선의 공존

7 코끼리 보고서 박지원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정조 연간 - 소품문의 등장과 창신(創新)의 시대

8 책과 자연 서유구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순조 연간 - 소품문의 성행과 박학의 문장

9 신선들의 도서관 홍길주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조선 말기 - 고전 산문의 마지막 불꽃

별권 근대의 피 끓는 명문
서재필 외 | 안대회·이현일·이종묵·장유승·정민·이홍식 편역
대한의 나라를 세운 문장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