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한국 산문선 5(양장본 HardCover)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국 산문선 5(양장본 HardCover)
정가 ₩22,000
판매가 ₩19,8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민음사
ISBN 9788937415715
출간일 20171124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국 산문선 5(양장본 HardCover) 수량증가 수량감소 198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신라부터 조선 말기까지 망라한
최대 규모의 한국 명문 선집
처음으로 만나는 우리나라 문장의 통사


우리나라의 고전 명문을 총망라한 『한국 산문선』(전 9권)이 민음사에서 완간되었다. 우리 고전의 부흥을 이끌고 있는 안대회, 이종묵, 정민, 이현일, 이홍식, 장유승 등 6인의 한문학자가 삼국 시대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한문 산문 중 사유의 깊이와 폭이 드러나는 작품을 선별·번역한 역작이다. 1300년의 시간을 넘어 찬란히 빛나는 우리 옛글은 한 시대의 풍경과 사유를 그대로 펼쳐 보이며 오늘날 우리에게 귀중한 문화 자산이 되어 준다.

목차

5권 - 보지 못한 폭포 | 김창협 외
효종과 숙종 연간

허목(許穆)
나의 묘지명(許眉자自銘)
『기언』을 짓다(記言序)
중국 고문의 역사(文學)
거지 은자 삭낭자(索囊子傳)
빙산기(氷山記)
우리나라의 명화들(朗善公子화貼序)
예양의 의리(讀史記作豫讓讚)

김득신(金得臣)
내가 읽은 책(讀數記)
사기 술잔 이야기(沙盃說)
정사룡, 노수신, 황정욱, 권필의 시를 평한다(評湖蘇芝石詩說)
괴로운 비에 관한 기록(苦雨誌)

남용익(南龍翼)
술을 경계하다(酒小人說)
『기아』 서문(箕雅序)

남구만(南九萬)
단군에 대한 변증(檀君)
최명길에 대한 평가(答崔汝和)
낚시에서 도를 깨닫다(釣說)
좋은 경치에 배부르다(飽勝錄序 辛巳)

박세당(朴世堂)
『사변록』을 지은 까닭(思辨錄序)
명나라 유민 강세작(康世爵傳)
시, 단련하고 단련하라(柏谷集序)

김석주(金錫胄)
호패법 시행에 대해 논한 차자(論戶牌箚)
선집이 필요한 이유(古文百選序)
인연이 있는 정자의 터(宅南小丘茅亭記)
못 물고기의 죽음을 슬퍼하다(悲池魚文 辛卯)
게딱지만 한 집(蟹甲窩記)
마음을 살찌워라(醫訓)

김창협(金昌協)
보지 못한 폭포(凜巖尋瀑記)
요절한 막내아우(六弟墓誌銘)
기둥이 세 개뿐인 정자(三一亭記)
호조 참의에서 물러나며(辭戶曹參議疏)
「곡운구곡도」 발문(谷雲九曲圖跋)
중국 여행길(贈兪寧叔赴燕序)
『식암집』 서문(息菴集序)

김창흡(金昌翕)
이가 빠지다(落齒說)
그리운 외손녀(外孫女李氏壙誌)
운근정의 매력(雲根亭記)

홍세태(洪世泰)
서호의 뱃놀이 그림(西湖泛舟圖序)
평생에 유감스러운 일(自警文)

이의현(李宜顯)
송도남의 절의(贈禮曹參判宋公神道碑銘幷序)
재주와 운명(耐齋集序)

최창대(崔昌大)
글은 다듬어야 한다(答李仁老德壽)
재능을 감추는 방법(留侯論 癸酉)
병 속에 지혜가 있다(진疾說 贈李尙輔)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이덕수(李德壽)
분별지를 버려라(題海嶽傳神帖)
소유할 수 없는 집(江居小樓記)
올바른 독서법(贈兪生拓基序)
작문의 요결(與洪仲經書)
나를 이끌어 준 아내(亡妻海州崔氏墓誌銘)
마음을 기르는 법(操舟亭記)
나의 초상화(寫眞小跋)

이하곤(李夏坤)
서화에 미치다(題李一源所藏鄭회元伯輞川渚圖後)
정선 그림의 진면목(題一源所藏海岳傳神帖)
그림 속 풍경, 풍경 속 그림(題一源所藏宋元名蹟)
여우의 아첨(媚狐說)
흰머리에 대한 단상(饒白髮文)

신유한(申維翰)
피라미와 고래(比鰍堂記)
달마와 안연(念佛契序)
부와 지식의 세습(木멱山記)
이름 없는 인골을 묻고(예人骨文)
나의 문장 공부(自서)

저자소개

김창협

출판사리뷰

삼국 시대 원효에서 20세기 정인보까지
1300년간 각 시대 문장가들이 펼쳐 낸
찬란한 우리 옛글 600편

우리 시대의 한문학자 6인이
엄정한 선별, 유려한 번역으로 세운
한국 산문의 모범


글은 우리 삶 자체이자 우리가 속한 사회의 수준을 가늠케 하는 지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100년이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한문으로 쓰이던 글말이 한글로 모두 바뀌어 지금의 세대는 바로 이전 세대의 글조차 제대로 읽을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이토록 언어의 변화가 극심했던 나라도 없을진대 이로써 현재는 과거와 단절되었고 선인들의 깊이 있는 사유와 성찰도 고리타분한 것으로 치부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선인들의 글 안에 담긴 인문 정신은 오늘날 어지러운 세태 속에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하여 우리 고전을 상아탑에서 과감하게 해방시켜 대중에게 선보인 대표적인 저자로 잘 알려져 있는 안대회, 이종묵, 정민 교수 등 중견 학자들을 비롯해 이현일, 이홍식, 장유승 등 신진 학자들이 참여하여 우리 시대에 맞는 새로운 ‘동문선’을 만들었다. 삼국 시대 원효부터 20세기 초반 정인보에 이르기까지 작가 229인의 산문 613편으로, 원고지 1만 8000매에 달하는 양이다. 여섯 명의 옮긴이가 세 팀으로 나뉘어 기획에서 출간까지 2010년부터 8년에 걸쳐 모두 아홉 권으로 묶어 냈다. 독자들과 보다 빠르게 만나기 위해 2013년부터 전자책 싱글 형태로 연재했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시리즈가 바탕이 되었다.

삼국 시대에서 20세기까지 전 시대를 망라하는 『한국 산문선』은 조선 초기 서거정의 『동문선』 이후로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산문 선집이다. 『동문선』이 조선의 성대한 문운(文運)을 보이기 위한 국가사업이었다면, 『한국 산문선』은 바로 지금 이곳의 독자를 위한 기획이다. 선집 편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바로 선(選)이니, 옮긴이들은 방대한 우리 고전 중에서도 사유의 깊이와 너비가 드러나 지성사에서 논의되고 현대인에게 생각거리를 제공하는 글을 선정했다. 각종 문체를 망라하되 형식성이 강하거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은 배제했으며 내용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부드러우면서도 분명하게 읽히도록 우리말로 옮기고, 작품의 이해를 돕는 간결한 해설을 붙였다. 본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석을 권말에 두었으며 교감한 원문을 함께 실었다. 그리고 권두의 해제로 각 시대 문장의 흐름을 조감해 볼 수 있도록 했다. 기획에 참여한 한문학자들의 역량과 더불어 그동안 축적된 국문학·한문학계의 연구 성과에 힘입은 대작이다.

2000년대에 이르러 동양의 고전, 그중에서도 우리 고전에 눈을 돌려 잊혔던 작품을 재발견하고 새로운 작품을 발굴하는 작업이 활발해졌다. 그간에는 대부분 유명한 저서나 작가 위주로 혹은 주제별·문체별로 소개되었다면, 『한국 산문선』은 시대순으로 엮은 최초의 통사적 선집이라는 데 주요한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독자는 『한국 산문선』에 실린 600편의 명문을 손이 가는 대로 하루 한 편씩 향유할 수도 있고, 시간을 두고 차차 읽어 나가면서 1300년의 산문사를 조감할 수도 있다. 이는 문학 연구에서 역사적, 문학사적 가치를 전제하기보다 텍스트 자체를 보면서 당대 실상에 접근해 가는 역자진의 연구 방법론과 공명한다. 우리나라의 역대 정치·경제·사회·문화를 돌아보는 원자료가 되었던 고전을 보면 지난 역사가 생생하게 복원될 뿐 아니라, 뜻밖에 마음으로 와닿는 문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한문으로 쓰인 문장은 오늘날 독자에게는 암호문처럼 어렵다. 그러나 그 안에 담긴 인문 정신의 가치는 현대라도 보석처럼 빛난다. 그 같은 보석을 길 막힌 가시덤불 속에 그냥 묻어 둘 수만은 없다. 이에 막힌 길을 새로 내고 역할을 나눠, ‘글의 나라’ 인문 왕국이 성취해 낸 우리 옛글의 찬연한 무늬를 세상에 알리려 한다. 삼국 시대로부터 20세기에 이르는 장구한 시간을 씨줄로 걸고, 각 시대를 빛냈던 문장가의 아름다운 글을 날줄로 엮었다. 각 시대의 명문장을 선택하여 쉬운 우리말로 옮기고 풀이 글을 덧붙였다. 이렇게 만나는 옛글은 더 이상 낡은 글이 아니다. 오히려 까맣게 잊고 있던 자신과 느닷없이 대면하는 느낌이 들 만큼 새롭다. ─ 「책을 펴내며」 중에서

일기, 편지글, 기행문에서 전기, 묘지명, 논설, 상소문까지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넘나드는 문장의 모든 것

한 시대를 풍미하고 장구한 시간을 견뎌 낸 명문
한국어로 읽고 쓰는 모든 사람을 위한 ‘우리 문학 선집’


우리나라의 최초의 문인으로 꼽히는 대작가가 바로 신라의 고운 최치원이다. 『한국 산문선』 1권의 첫머리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인 한문 문장을 남긴 원효, 설총, 녹진을 지나 최치원의 「황소를 토벌하는 격문(檄黃巢書)」이 실려 있다. 황소의 난을 토벌하러 나선 최치원의 이 글을 받고 황소가 놀라 말 위에서 떨어졌다는 일화가 유명하며, 이로써 최치원의 문명이 중국 전역에 떨쳤다고 전하는 글이다. 이러한 ‘글의 힘’은 『한국 산문선』의 면면에서 빛을 발한다.

오늘날까지 화두에 오르내리는 ‘인문’이라는 말의 유래는 조선을 설계한 정도전의 「문장은 도를 싣는 그릇(京山李子安陶隱文集序)」(2권 수록)에서 볼 수 있다. 이 글은 인문(人文)을 규정하는 예의 문장으로 시작한다. “해와 달과 별은 천문(天文)이요, 산천과 초목은 지문(地文)이요, 시(詩)와 서(書)와 예(禮)와 악(樂)은 인문(人文)이다.” 시서예악, 즉 인간이 이룩한 문화를 인문으로 규정하는 정도전의 글은 중국의 영향 아래에서 조선의 독자적인 문학을 자리매김하려는 시도 속에 있다.

글로 인재를 뽑고, 글하는 선비가 나라를 이끈 문화의 터전이었던 우리나라는 조선에 이르러 가장 많은 문장을 남겼다. 고려 대까지 이어져 온 불교의 영향이 점차 유교의 이념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문(文)과 도(道)의 관계를 논하는 한편, 중국의 고전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의식이 이어졌다. 『한국 산문선』은 글을 선별하면서 널리 알려진 문장가만이 아니라 특유한 색채를 보이는 작가를 수록하여 논설, 상소문, 전기는 물론이고 일기, 편지글, 기행문, 기문, 묘지명까지 문장의 모든 갈래를 보여 준다. 아들을 가르치기 위해 ‘오줌통’ 이야기까지 마다 않고 기록한 강희맹의 우화, 조선의 대학자 이황과 조식이 세상에 나아가고 물러나는 일에 관해 넌지시 조언을 주고받은 편지, 이이가 선배 학자들의 학문을 거침없이 논평한 글에서부터 마음이 아름다운 노비, 문장에 정통했던 장모님, 개성 있고 자존심 높았던 화가 등 비주류 인물의 전기, 산수 좋은 곳에 자신만의 공간을 마련하고 그에 부친 기문, 담배·고구마·코끼리 같은 새로운 문물에 관한 보고서까지…… 수많은 글들은 서로 엮여 긴 편폭의 한국 문화사를 이룬다.

이처럼 고전은 한 시대의 표정을 담고 있는가 하면 놀랄 만큼 지금의 나와 비슷한 내면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오래된 서가를 벗어나 아름다운 우리말로 되살아난 우리 고전은 인간과 삶을 바라보는 안목, 문제를 해결하는 통찰력을 열어 준다. 『한국 산문선』은 한창 독서 경험을 쌓아 가는 학생에게는 최초의 길잡이가 되고, 문장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는 만대의 교본이 되며, 어지러운 소음 속에 지친 사람에게는 마음을 씻을 거리가, 새로운 일을 도모하는 사람에게는 믿음직한 자산이 되어 줄 것이다. 근대 이후로 범람한 외국 문화와 신기술로 갈피를 잡기 어려운 오늘날 옛글을 읽는다는 것은 우리가 공유하는 모국어의 깊이에 접속하고 폭넓은 문화를 밑바탕으로 삼아 든든히 살아갈 채비를 하는 일이다. 상우천고(尙友千古), 곧 천고를 벗으로 삼는다는 말처럼 글에서 멀어진 이에게도 상우천고의 위안과 통찰을 함께 누려 보기를 권한다.

『한국 산문선』의 구성

1 우렛소리 ─ 이규보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ISBN 1권 978-89-374-1567-8 (04810) 460쪽 | 22,000원
1권은 신라에서 고려까지 우리나라 문학사가 전개되기 시작한 시기의 산문 80편을 수록했다. 최초로 본격적인 한문 문장을 남긴 원효와 우리 문장의 비조 설총·최치원의 글이 첫머리에 온다. 고려의 문장은 김부식·이규보로부터 화려한 문운이 전개되며, 세계 제국 원(元)의 통제기에는 최해·이제현·이색이 동인(東人)에 대한 자각을 보여 준다. 더불어 일연으로 이어지는 높은 수준의 불교 문자와 새로 유입된 성리학이 이룬 성황을 볼 수 있다.

2 오래된 개울 ─ 권근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ISBN 978-89-374-1568-5 (04810) 436쪽 | 22,000원

2권은 조선 개국에서 중종 연간까지, 조정에 나아가 세상을 경륜하는 문장과 재야로 물러나 내면의 수양에 힘쓰는 문장을 두루 실었다. 국가와 시대가 요구하는 문학을 개진한 정도전·권근·서거정 등 관각 문인이 문단을 주도하다가, 문학과 경학을 하나로 본 사림파 문학이 김종직을 필두로 차츰 부각된다. 글로써 세상과 나를 다스리는 선비의 나라 조선의 정신을 만날 수 있다.

3 위험한 백성 ─ 조식 외 | 이종묵·장유승 편역
ISBN 978-89-374-1569-2 (04810) 440쪽 | 22,000원
3권은 16세기의 벽두에 나란히 태어난 이황·조식에서 시작하여 명종에서 선조 연간의 산문을 수록했다. 주자학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펼쳐지는 가운데 시사를 비판하고 국난에 대처하는 이이·유성룡 등 지식인의 문장을 볼 수 있다. 한 시대의 사표가 될 만한 인물을 표창하는 전기, 학문 토론의 장이자 후학과 자제의 교육 수단이었던 편지글을 비롯해 기문, 설 등의 다양한 문체를 아우르는 68편을 실었다.

4 맺은 자가 풀어라 ─ 유몽인 외 | 정민·이홍식 편역
ISBN 978-89-374-1570-8 (04810) 448쪽 | 22,000원
4권은 산문 창작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기인 선조에서 광해군을 거쳐 인조 연간에 활동한 작가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선조 대의 유몽인으로부터 한문 사대가로 일컬어진 이정귀·신흠·이식·장유의 문장을 수록했으며, 여기에 허균과 그의 벗인 권필·조찬한의 산문을 포함했다. 이수광과 김상헌·최명길을 더해 모두 11명의 작품 68편은 내용과 형식이 조화와 균형을 잃지 않은 전아한 산문을 보여 준다.

5 보지 못한 폭포 ─ 김창협 외 | 정민·이홍식 편역
ISBN 978-89-374-1571-5 (04810) 424쪽 | 22,000원
5권은 양대 전란 이후 효종조에서 숙종조에 이르는 시기의 명문장을 모았다. 김창협 계열의 노론 문사들과 허목 계열의 남인 문사들, 남구만·박세당 계열의 소론 문사들과 홍세태·신유한 계열의 중인과 서얼 문사들이 동시대에 활동하면서 서로 다른 시선이 엇갈린다. 14명의 작품 61편을 통해 정치적 부침과 사회의 혼란상, 가치관의 난맥상 속에서 다양한 작가층이 펼치는 풍성한 이론적 모색과 넓은 스펙트럼을 엿본다.

6 말 없음에 대하여 ─ 이천보 외 | 정민·이홍식 편역
ISBN 978-89-374-1572-2 (04810) 392쪽 | 22,000원
6권은 영조 연간, 시대의 표정을 담은 글들을 모았다. 노론 집권기 4대가로 꼽힌 남유용·이천보·오원·황경원은 근엄하고 우아한 문장으로 한 시대를 선도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이 같은 온건함을 답답하게 여겨 뛰쳐나가려 한 조구명 같은 작가가 배출되었다. 또한 정내교는 문단의 일각에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위항 문인을 대변하며, 그 밖의 일군의 학자들은 해박한 식견과 폭넓은 독서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술적 글쓰기를 선보인다.

7 코끼리 보고서 ─ 박지원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ISBN 978-89-374-1573-9 (04810) 496쪽 | 22,000원
7권은 영조 후반에서 정조 치세 중반까지 약 40여 년간의 작품을 실었다. 사회와 문화 전반에서 자유롭고 활기찬 분위기가 넓게 퍼져 산문의 역사상 큰 전환이 일어난 시기이다. 이 시기 산문의 성과를 대표하는 문장가인 박지원을 비롯하여 이광려에서부터 정약전까지 35명의 문장가가 쓴 75편의 작품을 통해 18세기 중후반 산문의 다양한 변화와 혁신을 보여 준다.

8 책과 자연 ─ 서유구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ISBN 978-89-374-1574-6 (04810) 456쪽 | 22,000원
8권은 정조 시기에 교육을 받아 창작을 시작하고 순조 시기에 왕성하게 쓴 문장가 23명의 산문 70편을 엮었다. 권상신·이옥·남공철·심노숭·김조순·김려 등은 상업이 발달하고 문화가 번성한 한양의 도회적 감수성을 소품문 창작에 반영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성해응·정약용·서유구 등이 학자이자 문장가로서 높은 위치를 차지했다. 다양한 신분과 처지의 역량 있는 작가들이 도전적인 주제, 참신한 문체, 신선한 시각을 담은 새로운 글쓰기를 선보인다.

9 신선들의 도서관 ─ 홍길주 외 | 안대회·이현일 편역
ISBN 978-89-374-1575-3 (04810) 508쪽 | 22,000원
9권은 순조 대부터 시작하여 조선 말기를 거쳐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문장가 32명의 산문 66편을 실었다. 홍석주·김매순·홍길주 등이 전 시대의 역동적 분위기를 이어 나가 개성적인 글쓰기를 선보였고, 조선 말기에는 김윤식·김택영·이건창 등의 탁월한 문장가가 등장해 화려한 빛을 발했다. 이후 시대 상황이 급변함에 따라 전통적 문장은 그 위세를 잃어 갔으나, 위기와 혼란 속에 이건방·정인보 등이 남긴 빼어난 글들은 고전 산문의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 있다.

한국 산문선 1~9권 세트 ISBN 978-89-374-1576-0 (04810) | 160,000원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