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큰글자책] 습정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큰글자책] 습정
정가 ₩24,000
판매가 ₩21,6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김영사
ISBN 9788934988052
출간일 20210126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큰글자책] 습정 수량증가 수량감소 216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생각의 중심추를 바로 세우는 네 글자 지혜
“거품처럼 허망한 바쁨보다, 내면에 평온한 고요를 깃들여라”


“종일 말도 없이 좌망에 들었자니 이렇게 지내는 일 홀로 즐김 넉넉하다.
몸을 움직이면서도 고요함을 익히니[習靜] 담백하게 어디서건 참나가 드러나네.” _ 이수광의 〈무제(無題)〉

‘다함이 없는 보물’ 같은 한문학 문헌들에 담긴 전통의 가치를 현대의 언어로 되살려온 고전학자 정민 교수의 신작. ‘습정(習靜)’은 고요함을 익힌다는 뜻이다. 저마다 목소리를 높이고 듣기를 거부하는 소음의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침묵과 고요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이 책은 세상의 파고에 흔들리지 않고 고요히 자신과 마주하는 방법을 네 글자 행간에 담았다. 100편의 글을 ‘마음의 소식’, ‘공부의 자세’, ‘세간의 시비’, ‘성쇠와 흥망’으로 나눠 세상과 마음을 살핀다. 인간 내면에 대한 깊은 성찰부터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까지, 삶의 본질을 꿰뚫는 깨달음과 통찰을 오롯이 보여준다. 침묵이 주는 힘, 고요함이 빚어내는 무늬를 잊어버린 우리가 마음 깊이 새겨야 할, 생각의 중심추를 바로 세워줄 귀중한 지침이다.

목차

서언

제1부 마음의 소식

침정신정 沈靜神定 - 차분히 내려놓고 가라앉혀라
자모인모 自侮人侮 - 허물이 있어도 고치면 귀하다
한불방과 閒不放過 - 쓸모는 평소의 온축에서 나온다
심유이병 心有二病 - 공부는 달아난 마음을 되찾는 일
후적박발 厚積薄發 - 두텁게 쌓아 얇게 펴라
세척진장 洗滌塵腸 - 위로와 기쁨이 되는 풍경
형범미전 荊凡未全 - 덧없고 허망한 것에 마음 주지 않는다
천상다사 天上多事 -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
거년차일 去年此日 - 눈앞의 오늘에 충실하자
능내구전 能耐久全 - 더뎌야만 오래간다
산산가애 珊珊可愛 - 쟁글쟁글 울리는 인생의 소리
검신성심 檢身省心 - 말씀의 체에 걸러 뜬마음을 걷어내자
다자필무 多者必無 - 바쁜 일상에서 단출한 생활을 꿈꾸다
궁이불궁 窮而不窮 - 내 마음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춘몽수구 春夢水? - 봄꿈에 취하고 물거품을 쫓던 시간
두문정수 杜門靜守 - 문 닫고 고요히 마음을 지킨다
순안첩공 瞬眼輒空 - 예쁜 노을도 잠깐 만에 사라진다
좌명팔조 座銘八條 - 8자 좌우명 여덟 개로 세우는 다짐
대치십상 對治十常 - 처지에 따른 열 가지 마음가짐
자경팔막 自警八莫 - 스스로 경계 삼아야 할 여덟 가지 금기
비서십원 悲誓十願 - 꼭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열 가지 소원
구구소한 九九消寒 - 81번의 추위를 건너야 봄과 만난다
수상포덕 守常抱德 - 나날에 충실한 것이 장수의 비결
심동신피 心動神疲 - 제 한 몸을 잘 간수하려면
습정양졸 習靜養拙 - 고요함을 익히고 졸렬함을 기르다

제2부 공부의 자세

일슬지공 一膝之工 - 공부는 무릎과 엉덩이로 한다
불수고방 不守古方 - 법도를 뛰어넘어 법도를 지키다
구사비진 求似非眞 - 달라도 안 되고 똑같아도 안 된다
수도동귀 殊塗同歸 - 길은 달라도 도착점은 같다
억양개합 抑揚開闔 - 글에는 파란과 곡절이 담겨야
득구불토 得句不吐 - 말을 아껴야 안에 고이는 것이 있다
문유십기 文有十忌 - 글 쓸 때 해서는 안 될 열 가지
문유십의 文有十宜 - 문장이 갖춰야 할 열 가지
독서삼도 讀書三到 - 입으로 눈으로 마음으로 읽는다
약이불로 略而不露 - 부족해도 안 되고 넘쳐도 못쓴다
유천입농 由淺入濃 - 깊이는 여러 차례의 붓질이 쌓여야 생긴다
화경포뢰 華鯨蒲牢 - 나를 울게 할 고래는 어디에 있나?
불무구전 不務求全 - 다 이루고 모두 흥할 수는 없다
순물신경 徇物身輕 - 욕심만 따르다가 몸을 망친다
어가지요 御家之要 - 가까울수록 예의가 필요하다
반어구십 半於九十 - 100리 길에서는 90리가 절반이다
함구납오 含垢納汚 - 나쁜 것을 포용하고 더러움을 받아들이다
인품훈유 人品薰? - 남에 대해 하는 말에 사람의 그릇이 드러난다
초화계흔 招禍啓? - 입을 봉해 말을 아껴야 하는 이유
염취박향 廉取薄享 - 일마다 뜻대로 되는 것은 위태롭다
적이능산 積而能散 - 쌓지만 말고 흩을 줄을 알아야
앙급지어 殃及池魚 - 요행 속의 삶이라도 반듯함이 필요하다
식졸무망 識拙無妄 - 못났다는 말을 듣고 기뻐하다
소구적신 消舊積新 - 묵은 것을 없애고 새것을 쌓자
경경유성 輕輕有聲 - 연실갓끈이 서안에 부딪치는 소리

제3부 세간의 시비

삼년지애 三年之艾 - 7년 묵은 병에 3년 묵은 쑥 찾기
고금삼반 古今三反 - 옛날과 지금의 세 가지 상반된 행동
사대사병 四大四病 - 몸에 생기는 네 종류의 질병
오과지자 五過之疵 - 법을 집행하는 관리가 살펴야 할 다섯 가지
육일섬서 六日蟾? - 5월 6일에 잡은 두꺼비
오자칠사 惡者七事 - 내가 미워하는 일곱 가지
훼인칠단 毁人七端 - 남을 헐뜯는 일곱 가지 단서
각병팔법 却病八法 - 질병을 물리치는 여덟 가지 방법
음주십과 飮酒十過 - 술로 인해 생기는 열 가지 허물
작관십의 作官十宜 - 공직자가 지녀야 할 열 가지 마음가짐
처세십당 處世十當 - 마땅히 갖춰야 할 열 가지 처세법
석원이평 釋怨而平 - 원망을 풀어 평온을 찾자
야행조창 夜行朝昌 - 밤중에 행한 일이 아침에 드러난다
이두자검 以豆自檢 - 콩 수를 세어 하루를 점검하다
양비근산 兩非近? - 이쪽 말이 맞지만 저쪽 말도 틀리지 않다
이입도원 移入桃源 - 무심코 하는 한마디에 그 사람이 보인다
약교지도 約交之道 - 말과 낯빛으로 그 마음을 헤아린다
가외자언 可畏者言 - 말이 가장 두렵다
주옹반낭 酒甕飯囊 - 걸어다니는 술독과 밥통
신신신야 信信信也 - 믿을 것을 믿고 의심할 것은 의심한다
취몽환성 醉夢喚醒 - 취한 꿈에서 깨어나자
문슬침서 ??枕書 - 말만 하면 어긋나는 세상
세재비아 世財非我 - 세상의 재물은 단지 내 손을 거쳐가는 것일 뿐
구만소우 求滿召憂 - 이 또한 지나가리라
수서낭고 首鼠狼顧 - 요리조리 돌아보고 잡힐 듯 안 잡힌다

제4부 성쇠와 흥망

폐단구함 弊簞救鹹 - 소금을 담으려면 광주리가 튼튼해야
흉종극말 凶終隙末 - 이익 앞에 눈이 멀다
무연설설 無然泄泄 - 그렇게 답답하게 하지 말라
모란공작 牡丹孔雀 - 운치가 있어도 해서는 안 될 일
양탕지비 揚湯止沸 - 펄펄 끓는 물은 국자로 퍼서 식힐 수가 없다
다행불행 多倖不幸 - 정도가 사라져 꼼수가 횡행하는 세상
행루오리 幸漏誤罹 - 요행으로 면하고 잘못해서 빠져나가다
성일역취 醒日亦醉 - 술 마시는 일을 경계함
미견여금 未見如今 - 나라가 곧 망할 것입니다
타락수구 打落水狗 - 물에 빠진 개는 패야 한다
오자탈주 惡紫奪朱 - 가짜가 진짜의 자리를 차지하다
지인안민 知人安民 -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
물경소사 勿輕小事 - 일의 성패가 사소한 데서 갈린다
법자천토 法者天討 - 칭찬하는 자를 곁에 두려면 화를 내라
환양망익 ?羊望翼 - 바랄 것을 바라라
당방미연 當防未然 - 막을 수 있을 때 막아야
습인책노 習忍責怒 - 인내와 용서로 분노를 끄자
서해맹산 誓海盟山 - 어룡과 초목이 알아들은 뜻
취우표풍 驟雨飄風 - 소나기처럼 왔다가 회오리바람같이 사라진 권세
거안사위 居安思危 - 일 없을 때 살펴라
태배예치 ?背?齒 - 복어 등의 반점과 고래의 뾰족한 이빨
법여시족 法如是足 - 법 위의 법은 없다
지족보신 知足保身 - 만족할 줄 알아야 오래간다
탕척비린 蕩滌鄙吝 - 마음에서 비루하고 인색함을 말끔히 비워낸다
극자만복 棘刺滿腹 - 사물을 보며 마음 자세를 가다듬다

저자소개

정민

출판사리뷰

생각의 중심추를 바로 세우는 네 글자 지혜
“거품처럼 허망한 바쁨보다, 평온한 고요를 깃들여라”


‘다함이 없는 보물’ 같은 한문학 문헌들에 담긴 전통의 가치를 현대의 언어로 되살려온 고전학자 정민 교수가 《습정》으로 돌아왔다. 그동안 펴낸 《일침》《조심》《석복》《옛사람이 건넨 네 글자》에 이은 ‘세설신어(世說新語)’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이다.

사람들은 저마다 목소리를 낮추는 법 없이 제 할 말만 한다. 듣기를 거부하는 소음의 언어로 세상은 갈수록 시끄럽다. 거짓 정보, 가짜 뉴스에 덩달아 일희일비하며 정신없이 흔들리는 사이, 정작 소중한 것들이 내 안에서 빛바래 간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습정(習靜)’의 자세. 침묵과 고요를 익히는 연습이다.

이 책은 고요히 자신과 세상을 마주하는 방법을 네 글자 행간에 담아냈다. 인간 내면에 대한 깊은 성찰부터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까지, 풍부한 식견과 정치한 언어로 폭넓게 사유한다.

세상은 항상 덕을 채워나가는 쪽과 제 복을 털어내고 덜어내는 쪽의 길항으로 움직인다. 마음 간수가 어느 때보다 절박하고 절실하다. 날마다 조금씩 쌓아가는 것들의 소중함에 눈을 뜨고, 진실의 목소리에 더 낮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침묵이 주는 힘, 고요함이 빚어내는 무늬를 잊어버린 우리가 마음 깊이 새겨야 할 귀중한 지침이다.

소음의 시대를 꿰뚫는 간명한 통찰의 완결판

이 책은 100편의 글을 ‘마음의 소식’, ‘공부의 자세’, ‘세간의 시비’, ‘성쇠와 흥망’으로 나눠 묶었다. 제1부 〈마음의 소식〉은 세상의 파고에 흔들리지 않고 고요히 마음을 지키는 법에 대한 이야기다. 일에 닥쳐 아등바등 발만 구르며 사는 일은 고해(苦海) 그 자체다. 바깥으로 쏠리는 마음을 거두어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지 않은 일이 생기면 낙담하지 않고 곧 지나가겠지 한다. 누가 돈을 많이 버는 수가 있다고 꼬드기면 못 들을 말을 들은 듯이 몸을 움츠린다.

행실이 깨끗한 사람은 저자에 들어가서도 문을 닫아걸고,
행실이 탁한 사람은 문을 닫아걸고서도 저자로 들어간다.
行潔者入市而闔戶 濁行者闔戶而入市
_ 팽여양(彭汝讓), 《목궤용담(木?冗談)》 중에서

내 몸이 어디에 있는가보다, 내 마음이 있는 곳이 더 중요하다. ‘침정신정(沈靜神定)’, ‘두문정수(杜門靜守)’, ‘습정양졸(習靜養拙)’ 모두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설명한다. 엉뚱한 데 가서 턱없이 찾으니 마음이 자꾸 들떠 허황해진다. 가만히 내려놓고 차분히 가라앉히는 것이 먼저다.

제2부는 늘 반듯한 삶의 자세를 가다듬는 〈공부의 자세〉이다. 말을 아껴야 안에 고이는 것이 있다는 ‘득구불토(得句不吐)’, 부족해도 안 되고 넘쳐도 못쓴다는 ‘약이불로(略而不露)’, 깊이는 여러 차례의 붓질이 쌓여야 생긴다는 ‘유천입농(由淺入濃)’ 모두 말은 달라도 결국 의미는 같다.

오만함을 자라게 해서는 안 되고, 욕심을 마음껏 부려서는 안 된다.
뜻은 한껏 채우려 들지 말고, 즐거움은 끝까지 가서는 안 된다.
敖不可長 欲不可從 志不可滿 樂不可極
_ 《예기(禮記)》〈곡례(曲禮)〉 중에서

뭐든 조금 부족할 때 그치는 것이 맞다. 목표했던 것에 약간 미치지 못한 상태가 좋다. 음식도 배가 조금 덜 찬 상태에서 수저를 놓는다. 그런데 그게 참 어렵다. 한껏 하고 양껏 하면 당장은 후련하겠지만, 꼭 탈이 난다. 끝까지 가면 안 가느니만 못하게 된다. 일도 그렇고 사람도 그렇다.

제3부는 〈세간의 시비〉이다. 말이 가장 무섭다는 ‘가외자언(可畏者言)’, 마땅히 갖춰야 할 열 가지 처세법 ‘처세십당(處世十當)’, 취한 꿈에서 깨어나야 한다는 ‘취몽환성(醉夢喚醒)’이 이어진다.

어지러운 나라에 살면서 일에 대해 판단할 때 꼼꼼히 헤아리지 않는다면
재앙을 불러들이고 만다. 이 때문에 침묵이 귀한 것이다.
然居亂邦 應接事物 樞機不密 禍之招也 故?之?貴也
_ 이익(李瀷), 《성호사설(星湖僿說)》 중에서

침묵하면 비겁하다 하고, 의견을 내면 그 즉시 비난한다. 일마다 시시비비를 갈라 끝장을 봐야 직성이 풀리니 세상에 싸움 잘 날이 없다. 예나 지금이나 세상은 여전히 어지럽고, 바른 판단은 어렵다. 횡행하는 거짓 정보 앞에 수시로 판단력이 흐려진다. 부화뇌동 없이 정신의 줏대를 바로 세워야 한다.

제4부 〈성쇠와 흥망〉에서 가장 눈에 띄는 한 대목을 소개한다.

작은 일을 가볍게 보지 말라. 작은 틈이 배를 가라앉힌다.
작은 물건을 우습게 보아서는 안 된다. 작은 벌레가 독을 품고 있다.
소인을 그저 보아 넘겨서는 안 된다. 소인이 나라를 해친다.
勿輕小事 小隙沈舟 勿輕小物 小蟲毒身 勿輕小人 小人賊國
_ 《관윤자(關尹子)》 중에서

사람은 사소한 일에서 그 바탕이 훤히 드러난다. 작은 일을 건성으로 하면서 큰일을 촘촘히 살필 수 없다. 작은 틈 때문에 배가 침몰한다. 소인 한 사람이 전체 조직에 균열을 가져온다. “그 정도는 봐줘야지, 뭐 별일이 있겠어?” 하다가 정신을 차리고 나면 때가 이미 늦었다. 일의 성패가 사소한 데서 갈린다는 ‘물경소사(勿輕小事)’의 말이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