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큰글씨책] 원대 산곡선집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큰글씨책] 원대 산곡선집
정가 ₩46,000
판매가 ₩41,4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지식을만드는지식
ISBN 9791128865374
출간일 20220528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큰글씨책] 원대 산곡선집 수량증가 수량감소 414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저잣거리로 내려온 시인, 세상 모든 것을 노래하다

원나라 때 유행한 노래 가사 산곡 103수를 국내 처음으로 소개한다. 이민족의 통치로 관직에서 내려와 민중 속으로 들어간 지식 문인들은 겉치레와 점잔을 벗어버리고 소박한 민중의 희로애락을 솔직한 언어로 꾸밈없이 노래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을 때로는 즐겁게, 때로는 슬프게, 때로는 조롱하며, 때로는 한탄하며 읊은 이 노래들은 오늘날 우리 가슴에도 손쉽게 스며든다.

목차

1. 사랑과 이별, 그리움과 원망
[쌍조(雙調)·보보교(步步嬌)] 기원하노니(祝願)
[쌍조(雙調)·득승락(得勝樂)] 붉은 해 기울고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그대를 보내며(別情)
[쌍조(雙調)·대덕가(大德歌)] 봄은 왔건만(春)
[쌍조(雙調)·대덕가(大德歌)] 가을밤(秋)
[쌍조(雙調)·침취동풍(?醉東風)] 이별 장면
[월조(越調)·빙란인(??人)] 첫눈에 반했네
[월조(越調)·빙란인(??人)] 부칠까 말까(寄征衣)
[쌍조(雙調)·수양곡(壽陽曲)] 주렴수를 보내며(別珠簾秀)
[쌍조(雙調)·수양곡(壽陽曲)] 노소재에게 답하다(答盧疏齋)
[쌍조(雙調)·수양곡(壽陽曲)] 야속한 사람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서릉의 이별(西陵送別)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누가 내 꿈을 망쳤나(閨思)
[쌍조(雙調)·섬궁곡(蟾宮曲)] 이제야 알 듯한데(春情)
[월조(越調)·빙란인(??人)] 봄의 상심(春愁)
[쌍조(雙調)·청강인(淸江引)] 그리움의 빚(相思)
[중려(中呂)·홍수혜(紅?鞋)] 조금만 더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기녀의 원망(妓怨)
[선려(仙呂)·일반아(一半兒)] 기다리는 마음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그리움(相思)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천생연분(風情)
[중려(中呂)·분접아(粉蝶兒)] <기녀에게(贈妓)> 중에서
[쌍조(雙調)·섬궁곡(蟾宮曲)] 서상 이야기
[중려(中呂)·조천자(朝天子)] 약속(赴約)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세 가지 괴로움(相思)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정이란(題情)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이별이란(憶別)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그렇게 다정하더니(憶別)
[정궁(正宮)·새홍추(塞鴻秋)] 달 같은 내 사랑
[중려(中呂)·홍수혜(紅?鞋)] 하나부터 열까지의 이별
[중려(中呂)·홍수혜(紅?鞋)] 그대 때문에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사랑하고 배신하고(雜詠)
[정궁(正宮)·새홍추(塞鴻秋)] 떠나는 길(山行警)

2. 고달픈 인생, 한숨과 한탄
[중려(中呂)·양춘곡(陽春曲)] 세상 풍파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흐려도 맑아도(嘆世)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오늘은 젊지만(嘆世)
[월조(越調)·천정사(天淨沙)] 가을 시름(秋思)
[남려(南呂)·금자경(金字經)] 서글퍼라(感憤)
[선려(仙呂)·상화시(賞花時)] 객사의 비(孤館雨留人)
[정궁(正宮)·앵무곡(鸚鵡曲)] 농부는 비를 기다린다(農夫渴雨)
[쌍조(雙調)·침취동풍(?醉東風)] 깨달음(自悟)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밤비(夜雨)
[중려(中呂)·양춘곡(陽春曲)] 상인의 아내(閨怨)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누에 신세(嘆世)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이노비에게(贈李奴婢)
[선려(仙呂)·해삼정(解三?)] 저는 원래

3. 나, 이런 사람이야
[남려(南呂)·일지화(一枝花)] 난 죽지 않아(不伏老)
[쌍조(雙調)·침취동풍(?醉東風)] 나는 어부(漁夫)
[정궁(正宮)·취태평(醉太平)] 각설이의 후예
[정궁(正宮)·취태평(醉太平)] 가난한 훈장
[정궁(正宮)·녹요편(綠?遍)] 산림의 장원(自述)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나는야 신선(自述)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할 줄 아는 게 없소(自述)

4. 피해 살기, 숨어 살기, 취해 살기
[중려(中呂)·양춘곡(陽春曲)] 팔짱 끼고(知幾 1)
[중려(中呂)·양춘곡(陽春曲)] 피해 살기(知幾 4)
[선려(仙呂)·기생초(寄生草)] 취해 보자(飮)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한가한 삶(閑適 2)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멍청한 건 나(閑適 4)
[쌍조(雙調)·벽옥소(碧玉簫)] 돌아가자
[쌍조(雙調)·발불단(撥不斷)] 국화 필 때
[쌍조(雙調)·야행선(夜行船)] 가을 상념(秋思)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마음이 흡족하면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진짜 즐거움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나를 다잡다(自警)
[쌍조(雙調)·매화성(賣花聲)] 세상 살아보니(悟世)
[중려(中呂)·만정방(滿庭芳)] 어부의 노래(漁父詞)
[삼봉고성빈(三棒鼓聲頻)] <도연명취귀도>를 보고(題淵明醉歸圖)
[쌍조(雙調)·안아락과득승령(雁兒落過得勝令)] 하나면 되는 인생
[쌍조(雙調)·절계령(折桂令)] 조용히 살다(隱居)

5. 안타깝다! 역사 유감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굴원은 왜(嘆世 12)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소하의 죄(嘆世 15)
[남려(南呂)·사괴옥(四塊玉)] 마외파에서(馬嵬坡)
[남려(南呂)·일지화(一枝花)] <장종의 행락(詠莊宗行樂)> 중에서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여산에서(驪山懷古)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동관에서(潼關懷古)
[중려(中呂)·매화성(賣花聲)] 옛일을 생각하며(懷古)
[중려(中呂)·만정방(滿庭芳)] 악왕 전기를 읽고(看岳王傳)
[쌍조(雙調)·섬궁곡(蟾宮曲)] 강엄사에서(江淹寺)
[쌍조(雙調)·전전환(殿前歡)] 굴원을 애도하며
[정궁(正宮)·새홍추(塞鴻秋)] 능효대를 지나며(凌?臺懷古)

6. 비판과 풍자, 조롱
[선려(仙呂)·취중천(醉中天)] 미인 얼굴의 사마귀(佳人?上黑?)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공정한 세상이길(嘆世 4)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돈을 쌓아 두고(嘆世 19)
[반섭조(般涉調)·초편(哨遍)] 고조, 고향에 돌아오다(高祖還鄕)
[중려(中呂)·주리곡(朱履曲)] 관리가 되는 건
[중려(中呂)·산파양(山坡羊)] 겨울날 소회(冬日寫懷)
[정궁(正宮)·취태평(醉太平)] 누가 돈을 싫어해
[쌍조(雙調)·침취동풍(?醉東風)] 잠꾸러기 기녀(嘲妓好睡)
[정궁(正宮)·단정호(端正好)] <고 감사께(上高監司)> 중에서
[쌍조(雙調)·수선자(水仙子)] 다 허풍일세(譏時)
[쌍조(雙調)·낙매풍(落梅風)] 눈아!(詠雪)
[중려(中呂)·보천락(普天樂)] 훈장님 말씀(嘲西席)
[중려(中呂)·조천자(朝天子)] 불공평한 세상(志感 1)
[중려(中呂)·조천자(朝天子)] 파란 지폐가 최고(志感 2)
[정궁(正宮)·취태평(醉太平)] 위대한 원나라
[정궁(正宮)·취태평(醉太平)] 벼룩의 간 빼먹기(譏貪小利者)[상조(商調)·오엽아(梧葉兒)] 욕심쟁이(嘲貪漢)
[상조(商調)·오엽아(梧葉兒)] 키 큰 여인(嘲女人身長)

7. 사회 풍속도
[반섭조(般涉調)·사해아(?孩兒)] 농부가 극장을 몰랐더라(莊家不識??)
[반섭조(般涉調)·사해아(?孩兒)] 말을 빌려 달라니(借馬)
[월조(越調)·채아령(寨兒令)] 기원은 무서워(戒?蕩)
[중려(中呂)·양춘곡(陽春曲)] 찻집(贈茶肆)
[중려(中呂)·만정방(滿庭芳)] 미운 기생 어미(刺?母)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관한경

출판사리뷰

원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산곡은 원나라(1271∼1368) 때 등장한 노래 가사로, 당시 가장 많이 지어지고 사랑받은 형식이다. 송대에 유행한 노래 가사 형식인 ‘사(詞)’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북방의 음악을 기반으로 발전했고, 사보다도 더 자유롭고 통속적이었으며 명청대까지 꾸준히 지어지면서 사랑받았다. 원대 이래 800여 년간 많은 작품이 산실되었지만 약 2만 수 정도가 전한다.
송대의 사(詞)와 마찬가지로 산곡은 노래 가사인 만큼, 한 구의 글자 수, 멜로디와 리듬, 소리의 높낮이, 라임 등의 규칙이 모두 정해져 있었다. 이 때문에 산곡은 내용을 밝힌 제목 외에 어느 곡조에 맞춰서 불러야 하는지를 밝힌 곡조의 제목 ‘곡패(曲牌)’를 반드시 밝히고 있다.

가장 솔직하고 거침없는 문학
은유와 상징, 함축이 묘미인 시와 달리, 산곡은 감정을 직설적으로 쏟아 낸다. 같은 노래 가사인 사(詞)에 비해서도 더 통속적이고 재기발랄하다. 억울하면 억울하다고 울부짖고, 그리우면 그립다고, 미우면 밉다고 소리치며, 괴로우면 괴롭다고 숨김없이 말하는 등, 표현도 거리낌이 없다. 부패와 부조리가 만연한 사회를 대놓고 비판하고 세상을 마음껏 조롱하며 황제와 성현, 자신까지도 희화화한다. 인생도 역사도 모두 덧없다고 한탄하기도 하고 사랑의 설렘과 그리움, 봄을 잃은 슬픔, 규방의 눈물, 나그네 설움, 신세타령을 늘어놓기도 한다. 거기에 기방의 모습이나 저잣거리의 자질구레한 일들부터 기이한 사람들의 모습, 은일의 소망과 기쁨까지, 안 다루는 제재가 없어 중국 시가사상 가장 광범위한 내용을 다룬다고 칭해진다.

가장 낮은 곳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이는 원나라라는 시대 특성에서 기인한다. 문인 사대부가 지배 계층이었던 당송대와는 달리, 이민족인 몽고족이 지배한 원나라에서 한족 지식인의 지위는 ‘8계급인 창기와 10계급인 거지 사이’라고 자조할 정도로 낮았다. 소수의 몇몇 작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서회(書會)라는 작가 조직에 속해 글을 팔아 먹고살았다. 사회의 밑바닥까지 추락해 자신과 주변을 돌아본 경험, 명예도 권력도 없이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다양한 계층, 특히 하층민의 삶을 가까이서 들여다본 경험은 원대의 산곡과 희곡 창작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송대를 거치며 형성된 독서인 계층의 자부심이 무의미해지고 주변인적 삶을 살아야 했던 작가들은 가장 낮은 곳에 처해 비로소 자신의 존재 가치와 정체성에 대해 갈등하며 내적·외적 탐색을 통해 자신과 주변을 표현했던 것이다. 작가들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거나 삐딱한 반골 기질을 거침없이 표현하기도 했으며 세상을 향해 분노하거나 세상으로부터 도피하고 숨거나 세상을 조롱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현재까지 집록된 산곡은 1964년 중화수쥐(中華書局)에서 나온 ≪전원산곡(全元散曲)≫에 따르면 독립된 짧은 노래인 소령(小令) 3853수, 여러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 (套數) 457편에 약간의 잔곡이 있다. ≪원대 산곡선집≫에는 그중 원대 대표 작가들의 가장 많이 알려진 노래 103수를 소개한다. 작품은 주제별로 묶어 다양한 내용을 감상할 수 있다. 옮긴이 하경심 교수는 작품 해설과 주석으로 각 작품의 특징과 작가, 작품 배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