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중국명언(교훈의 미학)(양장본 HardCover)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중국명언(교훈의 미학)(양장본 HardCover)
정가 ₩30,000
판매가 ₩27,0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박문사
ISBN 9788998468552
출간일 20150228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중국명언(교훈의 미학)(양장본 HardCover) 수량증가 수량감소 270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본 명언집은 공자(孔子)가 말한 ‘서술하되 창작하지 않는다(述而不作)’는 정신에 기초하여, 중국의 역대 명언을 시대 환경에 따라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거나 미래 세대에게 비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본 중국명언은 춘추전국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명언을 12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머리말》

《중국 명언에 관하여》

《Part. 1》 인간은 배워야 한다.
1. 많이 보고 듣는 것이 적은 것보다 낫다.
多聞則守之以約, 多見則守之以卓. 寡聞則無約也, 寡見則無卓也. (≪法言ㆍ吾子≫)
2. 널리 읽고 요점을 파악하라.
觀書貴要, 觀要貴博, 博而知要, 萬流可一. (顔延之 《庭誥》)
3. 책을 많이 읽지 않고 함부로 의견을 말하지 말라.
觀天下書未遍, 不得妄下雌黃. (≪顔氏家訓ㆍ勉學≫)
4. 손가락으로 해와 달이 가려지지 않는다.
十指而掩日月之光, 一口而吸滄溟之水. (明, 宋濂 《傳法正宗記序》)
5. 물은 쉬지 않고 바다로 흘러든다.
百川學海而至於海, 丘陵學山而不至於山, 是故惡夫畵也. (≪法言ㆍ學行≫)
6. 스스로 쉬지 않고 노력하라.
自强不息. (≪周易ㆍ乾≫)
7. 인생은 늙을 때까지 배우고 사는 것이다.
少而好學, 如日出之陽; 壯而好學, 如日中之光; 老而好學, 如炳燭之明. (≪劉向 說苑ㆍ建本篇≫)
8. 글을 읽지 않으면 변화를 알 수 없다.
書不千軸, 不可以語化; 文不百代, 不可以知變. (皇甫湜 《諭業》)
9. 긴 시간 사색은 짧은 배움보다 못하다.
吾嘗終日而思矣, 不如須臾之所學也. (≪荀子ㆍ勸學≫)
10. 진리는 구하는 것이 아니라 터득하는 것이다.
道可致而不可求. (蘇東坡 《日喩》)
11. 배움은 묻는 것에서 출발한다.
學問須時時拈?, 及時時受用. 縱無人講, 亦須去尋人講. (李贄 ≪焚書ㆍ答莊純夫書≫)
12. 남의 장점을 빌어 내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배움이다.
善學者, 假人之長, 以補其短. (≪呂氏春秋ㆍ用衆≫)
13. 남을 가르치려는 것이 근심거리이다.
人之患在好爲人師. (≪孟子ㆍ離婁上≫)
14. 스승이 반드시 제자보다 훌륭하다고 할 수 없다.
弟子不必不如師, 師不必賢於弟子. (韓愈 《師說》)
15. 배우지 않는 것은 시간이 없어서가 아니라 의지 때문이다.
謂學不暇者, 雖暇亦不能學. (≪淮南子ㆍ說山訓≫)
16. 배우는 자는 재능보다 의지가 중요하다.
學者, 不患才之不贍, 而患志之不立. (徐幹 ≪中論ㆍ治學≫)
17. 학문을 권장하는 것이 나라를 잘 다스리는 법이다.
善國者莫先育材, 育材之方莫先勸學. (范仲淹 《上時相議制擧書》)

《Part. 2》 인재는 양성해야 하고 스승은 준엄해야 한다.
1. 한 번에 백배를 수확하는 것이 사람이다.
一樹一穫者, 穀也, 一樹十穫者, 木也; 一樹百穫者, 人也. (≪管子ㆍ權修≫)
2. 세상에는 훌륭한 인재가 많다.
天下之患, 不患材之不衆, 患上之人不欲其衆. 不患士之不欲爲, 患上之人不使其爲也. (王安石 《材論》)
3. 인재는 많아도 알아보는 사람은 적다.
人才之難, 自古而然, 匪難其人, 抑難其天. (宋, 辛棄疾 《祭陳同甫文》)
4. 훌륭한 인재를 버리면 나라가 망한다.
任賢使能而興, 棄賢專己而衰. (王安石 《興賢》)
5.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호랑이나 뱀을 만난 것보다 더 불길하다.
有賢而不知, 一不祥; 知而不用, 二不祥; 用而不任, 三不祥. (≪晏子春秋ㆍ內篇ㆍ諫下二≫)
6. 사나이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는다.
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 (≪戰國策ㆍ趙策一≫)
7. 복숭아 나무 아래는 저절로 길이 난다.
桃李不言, 下自成蹊. (≪史記ㆍ李將軍列傳≫)
8. 열 마리 명마보다 한 명의 백락을 얻어라.
得十良馬, 不若得一伯樂; 得十良劍, 不若得一歐冶;
得地千里, 不若得一聖人. (≪呂氏春秋ㆍ不苟論ㆍ?能≫)
9. 스승이 지엄해야 학문이 산다.
師嚴然後道尊, 道尊然後民知敬學. (≪禮記ㆍ學記≫)

《Part. 3》 자신에게 엄격하고 남을 이롭게 하라.
1. 자신이 반듯하면 세상 사람이 모두 모여든다.
愛人不親, 反其仁; 治人不治, 反其智; 禮人不答, 反其敬;
行有不得者, 皆反求諸己, 其身正而天下歸之. (≪孟子ㆍ離婁上≫)
2. 인격만이 하늘을 감동시킬 수 있다.
惟德動天, 無遠弗屆, 滿招損, 謙受益. (≪書經ㆍ大禹謨≫)
3. 열 개의 눈이 보고 있다.
十目所視, 十手所指. (≪禮記ㆍ大學≫)
4. 사람은 스스로 쌓았다가 스스로 허문다.
功者自功, 禍者自禍. (柳宗元 《天說》)
5. 배는 잔잔한 물에서 전복된다.
巫峽之險不能覆舟而覆於平流, 羊腸之曲不能?車而?於劇?. (明, 宋濂 《燕書四十首》二)
6. 재앙은 자만에서 탄생한다.
福生於隱約, 而禍生於得意. (劉向 ≪說苑ㆍ敬愼篇≫)
7. 남을 이기기보다 이롭게 하라.
以善勝人者, 未有能服人者; 以善養人者, 未有不服人者也. (≪管子ㆍ戒≫)
8. 앞서고 싶거든 먼저 남을 앞세워라.
仁者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論語ㆍ雍也≫)
9. 슬플 때나 기쁠 때나 나라 걱정.
不以物喜, 不以己悲. (范仲淹 《岳陽樓記》)
10. 남보다 앞서 걱정하고, 남보다 나중에 즐긴다.
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 (范仲淹 《岳陽樓記》)

《Part. 4》 산수자연과 벗삼아 욕심 없이 살라.
1. 자연은 인간보다 아름답다.
池中水影懸勝鏡, 屋裏衣香不如花. (庾信 《春賦》)
2. 찬란한 산천에 눈이 쉴 틈이 없다.
山川自相映發, 使人應接不暇. (≪世說新語ㆍ言語≫)
3. 물속에서 나무하고, 산에서 고기 잡는다?
樵於水, 志豈在薪? 漁於山, 志豈在魚? (明, 宋濂 《竹溪逸民傳》)
4. 춘하추동을 따라 욕심 없이 살리.
春夏之交, 草木際天, 秋冬雪月, 千里一色. (蘇軾 《放鶴亭記》)
5. 속세에 사는 신선이어라.
高峰入雲, 淸流見底, 兩岸石壁, 五色交輝. (陶弘景 《答謝中書書》)
6. 자연은 값을 셈할 수 없는 물건이다.
淸風明月本無價, 近水遠山皆有情. (蘇州 滄浪亭 對聯 《滄浪亭記》)
7. 청풍명월은 음악이요, 그림이다.
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遇之而成色. (蘇東坡 《赤壁賦》)
8. 태어난 생명을 해하지 말라.
春夏之所生, 不傷不害. (姜尙 ≪太公陰謀≫)
9. 인생은 짧고 지식은 무한하다.
吾生也有涯, 而知也無涯. 而有涯隨無涯, 殆已. (≪莊子ㆍ養生主≫)
10.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
直木先伐, 甘井先竭. (≪莊子ㆍ山木≫)
11. 부드러운 것이 살아있는 것이다.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萬物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槁.
故堅强者, 死之徒, 柔弱者, 生之徒. (≪老子≫七十六章)
12. 만족을 모르는 것보다 큰 재앙은 없다.
禍莫大於不知足. (≪老子≫四十六章)

《Part. 5》 중용의 미학을 알라.
1. 강하다고 가혹해서는 안 된다.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書經ㆍ舜典≫)
2. 화합하되 동조하지는 않는다.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論語ㆍ子路≫)
3. 기쁨과 슬픔의 거리는 멀지 않다.
哀樂不同而不遠, 吉凶相反而相襲. (王勃 《平臺秘略論ㆍ規諷》)
4. 고금을 관통해야 지식이 균형을 이룬다.
夫知今不知古, 謂之盲?. 知古不知今, 謂之陸沈. (王充 ≪論衡ㆍ謝短≫)
5. 가시 속에 핀 난은 더욱 아름답다.
棘中之蘭, 其花更碩茂矣. (鄭燮 ≪鄭板?集ㆍ題蘭≫)
6. 불변의 이념과 응용의 법.
法者, 所以適變也, 不必盡同; 道者, 所以立本也, 不可不一. (曾鞏 《戰國策目錄序》)
7. 원칙과 응용의 조화.
經非權則泥, 權非經則悖. (柳宗元 《斷刑論》)
8. 원칙은 응용의 뿌리이다.
明體以及用, 通經以知權. (劉禹錫 《答饒州元使君書》)
9. 멀리 있는 물로는 가까운 불을 끌 수 없다.
失火而取水於海, 海水雖多, 火必不滅矣, 遠水不救近火也. (≪韓非子ㆍ說林上≫)

《Part. 6》 사이비를 경계하라.
1. 몸은 강호에 있으면서 마음은 대궐에 가 있다.
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 (≪莊子ㆍ讓王篇≫)
2. 호랑이 가죽을 쓴 양의 허울.
羊質而虎皮, 見草而說, 見豹而戰, 忘其皮之虎矣. (≪揚子法言ㆍ吾子≫)
3. 세상이 혼탁해지면 매미 날개를 무겁다고 한다.
世混濁而不淸, 蟬翼爲重, 千鈞爲輕. 黃鐘毁棄, 瓦釜雷鳴. (屈原 《卜居》)
4. 흰 돌은 옥과 비슷하지만 다르다.
白石似玉, 奸?似賢. (葛洪 ≪抱朴子ㆍ祛惑≫)
5. 없는 호랑이도 세 사람이 말하면 생겨난다.
夫市之無虎明矣, 然而三人言之則成虎. (≪戰國策ㆍ魏策二≫)
6. 잎이 눈을 가리면 태산도 보지 못한다.
一葉蔽目, 不見泰山; 兩豆塞耳, 不聞雷霆. (?冠子ㆍ天則)
7. 뭇사람의 입방아는 돌도 뜨게 한다.
衆口毁譽, 浮石沈木. (≪新語ㆍ辨惑≫)

《Part. 7》 남의 인격을 존중하는 것이 교제의 시작이다.
1. 부족한 점을 채우는 친구와 사귀어야 한다.
孔子曰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友便?, 友善柔, 友便?, 損矣. (≪論語ㆍ季氏≫)
2. 뜻이 통하는 친구, 이해가 맞는 친구.
君子與君子以同道爲朋, 小人與小人以同利爲朋. (歐陽脩 《朋黨論》)
3. 하나 된 마음에서 나온 말은 난처럼 향기롭다.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周易ㆍ繫辭上≫)
4. 아첨과 교만은 사귐의 적이다.
君子上交不諂, 下交不瀆. (≪周易ㆍ繫辭下≫)
5. 사귐은 시간보다 마음에 달려있다.
白頭如新, 傾蓋如故. (≪史記ㆍ?仲連鄒陽列傳≫)
6. 얼굴이 다른 것처럼 마음도 다르다.
人心之不同, 如其面焉. (≪左傳ㆍ襄公三十一年≫)
7. 봄의 난초, 가을의 국화.
春蘭秋菊, 各一時之秀也. (顔師古 《隋遺錄》)
8. 어지러움은 말에서 나온다.
亂之所生也, 則言語以爲階. (≪周易ㆍ繫辭上≫)
9. 실천은 남보다 먼저, 말은 남보다 늦게.
行欲先人, 言欲後人. (≪曾子ㆍ立事≫)
10. 관리는 말을 하고 실천하지 않는 것을 수치로 여겼다.
居其位, 無其言, 君子恥之; 有其言, 無其行, 君子恥之. (≪禮記ㆍ雜記下≫)

《Part. 8》 역사와 민의의 준엄성을 깨달아야 한다.
1. 남을 거울로 삼으면 득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以銅爲鏡, 可以正衣冠; 以古爲鏡, 可以知興替;
以人爲鏡, 可以明得失. (≪貞觀政要ㆍ任賢≫)
2. 충신은 밝은 거울과 같다.
人欲自見其形, 以資明鏡; 君欲自知其過, 必待忠臣. (≪資治通鑑ㆍ唐太宗貞觀元年≫)
3. 백성이 바라는 대로 하는 것이 정치이다.
俗之所欲, 因而予之, 俗之所否, 因而去之. (≪史記ㆍ管晏列傳≫)
4.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은 냇물을 막는 것보다 위험하다.
防民之口, 甚於防川. (≪國語ㆍ周語上≫)
5. 국민이 없는 지도자는 물이 없는 물고기와 같다.
魚欲異群魚, 捨水躍岸卽死; 虎欲異群虎, 捨山入市卽擒. (≪關尹子ㆍ三極≫)
6. 세상 사람을 두렵게 하는 지도자는 환영받지 못한다.
猛虎處於深山, 向風長鳴, 則百獸震恐而不敢出;
松柏生於高岡, 散柯布葉, 而草木爲之不殖. (宋 蘇轍 《上劉長安書》)

《Part. 9》 멀리 보는 안목을 가지자.
1. 훌륭한 의사는 혈맥 속을 관찰한다.
善醫者, 不視人之瘠肥, 察其脈之病否而已矣;
善計天下者不視天下之安危, 察其紀綱之理亂而已矣. (韓愈 《雜說》)
2. 매미 날개가 잦아지면 장차 기러기가 날아온다.
細聽蟬翼寂, 遙感雁來聲. (謠諺)
3. 틈새로 새는 볕을 보고 태양의 본체를 알다.
嘗一滴之鹹而知滄海之性, 窺寸隙之光而見日輪之體. (宋濂 《松風閣記》)
4. 멀리 내다보지 않으면 당장 근심거리가 생긴다.
人無遠慮, 必有近憂. (≪論語ㆍ衛靈公篇≫)
5. 천 리 길도 발아래에서 시작한다.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千里之行, 始於足下. (≪老子≫六十四章)
6. 높은 산을 우러러보아야 날고픈 의지를 가진다.
面岐路者, 有行迷之慮; 仰高山者, 有飛天之志. (傅玄 ≪傅子≫)
7. 기러기는 올랐다가 추락하며 난다.
一抑一揚者, 輕鴻所以凌虛者; 乍屈乍伸者, 良才所以俟時也. (≪抱朴子ㆍ外篇ㆍ廣譬≫)

《Part. 10》 인격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1.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를 잡을 수 있다.
不入虎穴, 焉得虎子. (≪後漢書ㆍ班超傳≫)
2. 오래 살아도 뜻을 이루지 못하면 요절한 것과 같다.
人生不得行胸懷, 雖壽百歲, 猶爲夭也. (南朝梁ㆍ沈? ≪宋書ㆍ蕭惠開傳≫)
3. 부귀에 흔들리지 않고 무력에 굴복하지 않는 자가 대장부다.
富貴不能淫, 貧賤不能移, 武威不能屈, 此之謂大丈夫. (≪孟子ㆍ?文公章句下≫)
4. 한 사나이의 의지는 장수보다 강하다.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 (≪論語ㆍ子罕篇≫)
5. 자신을 이겨야 뜻을 이룰 수 있다.
志之難也, 不在勝人, 在自勝. (≪韓非子ㆍ喩老≫)
6. 강과 바다는 자신을 낮추어 모든 물을 받아들인다.
江海所以能百谷王者, 以其善下之. (≪老子≫六十六章)
7. 흔들리지 않는 의지가 위대한 사업을 세운다.
古之立大事者, 不惟有超世之才, 亦必有堅忍不拔之志. (蘇軾 《?錯論》)
8. 도덕이 삶의 길이를 결정한다.
生而不淑, 孰謂其壽, 死而不朽, 孰謂其夭. (韓愈 《李元賓墓銘》)
9. 곤궁해도 지조를 바꾸지 말라.
窮不易操, 達不患失. (林逋 ≪省心錄≫)
10. 그대의 풍모, 산처럼 높고 물처럼 길도다.
雲山蒼蒼, 江水??, 先生之風, 山高水長. (范仲淹 《嚴先生祀堂記》)
11. 인격자는 가난을 의연하게 받아들인다.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 (≪論語ㆍ衛靈公≫)
12. 자기만이 옳다고 고집하지 마라.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論語ㆍ子罕≫)
13.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다.
仰不愧於天, 俯不?於人. (≪孟子ㆍ盡心章句上≫)
14. 인격자에게 명예는 생명보다 귀중하다.
富以苟, 不如貧以譽, 生以辱, 不如死以榮. (≪大戴禮記ㆍ曾子制言上≫)
15. 똑똑하면서 우직한 사람이 되라.
智而能愚, 則天下之智莫加焉. (明, 劉基 ≪郁離子ㆍ大智≫)
16. 사사로운 재주보다 욕심 없는 바보가 낫다.
智而用私, 不如愚而用公. (劉向 ≪說苑ㆍ談叢≫)
17. 눈으로 본 대나무, 마음으로 읽은 대나무, 그리고 손으로 그린 대나무.
胸中之竹, 幷不是眼中之竹也, 手中之竹, 又不是胸中之竹也. (鄭燮 《題畵竹》 ≪鄭板橋集≫)

《Part. 11》 도구와 환경은 성공의 조건이 된다.
1. 소매가 길어야 춤을 잘 춘다.
長袖善舞, 多錢善賈. (≪韓非子ㆍ五?≫)
2. 삼밭의 명아주는 곧게 자란다.
蓬生麻中, 不扶而直. (≪荀子ㆍ勸學篇≫)
3. 대어가 뭍에 오르면 개미도 이기지 못한다.
呑舟之魚, 陸處則不勝?蟻. (≪呂氏春秋ㆍ愼勢≫)
4. 어물전의 비린내는 코를 마비시킨다.
入鮑魚之肆, 久而不聞其臭. (≪孔子家語ㆍ六本≫)

《Part. 12》 비판과 개혁이 지성의 핵심이다.
1.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한다.
是是, 非非, 謂之知; 非是, 是非, 謂之愚. (≪荀子ㆍ修身≫)
2. 한 마리 개가 짖으면 온 동네 개가 따라 짖는다.
一犬吠形, 百犬吠聲. (漢ㆍ王符 ≪潛夫論ㆍ賢難≫)
3. 천 마리 양가죽은 한 마리 여우 겨드랑이 털만 못하다.
千羊之皮, 不如一狐之腋; 千人之諾諾, 不如一士之??. (≪史記ㆍ商君傳≫)
4. 늑대와 이리가 길을 막고 있구나.
豺狼當道, 安問狐狸. (南朝 宋 范曄 ≪後漢書ㆍ張網傳≫)
5. 조율이 되지 않으면 줄을 바꿔라.
琴瑟不調, 甚者必解而更張之. (≪漢書ㆍ董仲舒傳≫)

《부록》: 《중국 명언 일람표(中國名言一覽表)》

《발문(跋文)》

저자소개

권석환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