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국내도서
  2. 역사
닫기

임원경제지 위선지 1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임원경제지 위선지 1
정가 ₩33,000
판매가 ₩29,7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풍석문화재단
ISBN 9791189801663
출간일 20240220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임원경제지 위선지 1 수량증가 수량감소 297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임원경제지》 6번 째 지(志) 《위선지(魏鮮志)》, 풍흉·길흉 예측 백과사전

〈위선지〉 제목인 ‘위선(魏鮮)’은 중국 한(漢)나라의 천문점성가로 풍흉과 길흉의 예측에 뛰어났던 인물의 이름이다. 서유구 선생은 기상과 천문, 그리고 자연 현상을 관찰하여 농사의 풍흉과 세상사의 길흉 등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를 집대성하여 〈위선지〉라 칭했다. 《임원경제지》의 16지 중 농사와 목축을 주제로 한 지는 〈본리지〉·〈관휴지〉·〈예원지〉·〈만학지〉·〈전공지〉·〈전어지〉등 6개이다. 이 6개 분야의 풍흉과 길흉을 예측하여 대비하는 일 역시 향촌에서 가정을 경영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이것이 지금의 기상청 예보와 같은 비교적 짧은 시기의 예보는 물론, 1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뒤의 예측 정보를 알려주려 했던 〈위선지〉가, 《임원경제지》 중 한 분야의 주제로 포함되어야 했던 이유이다.

권1~3은 〈풍흉과 길흉의 예측〉을, 권4는 〈바람과 비의 예측〉을 다루었다. 〈위선지〉 1권은 권1부터 권2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1 〈풍흉과 길흉의 예측(상)〉에서는 “1월점(正月占)”에서 “12월점(十二月占)”까지 열두 달의 기상과 천문 현상이 풍흉과 길흉에 미치는 상응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각 달의 표제어로는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총점(總占)’, ‘일진(日辰)’, ‘징후[日候]’, ‘여러 점[雜占]’ 등이 이어진다.

권2 〈풍흉과 길흉의 예측(중)〉에서는 하늘, 땅, 해, 달, 바람, 비, 구름 등의 천문 기상 현상과 초목, 곡식, 금수, 곤충 등의 자연 현상을 통해 풍흉과 길흉을 점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2의 첫 표제어인 ‘하늘의 빛깔’에는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반영하는 역사적 사건이나 사실들의 기술이라기보다는 옛날 사람들이 하늘 빛깔에 대해 품고 있던 일반적인 통념이나 경험을 반영하는 자료이다. “초목으로 점치다[占草木]” 항목에는 풀과 나무, 꽃 등의 생장이 곡식 농사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을 말해주는 내용들도 다수 등장한다. 권2 말미에는 부록으로 “곡식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耕播宜忌日]”을 첨가했다.

목차

서문
《위선지》 해제
《위선지》 서문

위선지 권제1

풍흉과 길흉의 예측(상) 候歲(上)
1. 1월점 正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에 오는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춘의 일진 立春日辰
5) 입춘(立春, 양력 2월 3·4일경)의 징후 立春日候
6) 입춘의 여러 점 立春雜占
7) 우수(雨水)의 여러 점 雨水雜占
8) 1월 1일에 든 십간(十干)으로 보는 점 元朝日干
9) 1월 1일의 징후 元朝日候
10) 1월 1일의 여러 점 元朝雜占
11) 정월 보름[上元, 상원]의 징후 上元日候
12) 정월 보름의 여러 점 上元雜占
13) 갑(甲)이 든 날 得甲
14) 신(辛)이 든 날 得辛
15) 자(子)가 든 날 得子
16) 인(寅)이 든 날 得寅
17) 묘(卯)가 든 날 得卯
18) 진(辰)이 든 날 得辰
19) 신(申)이 든 날 得申
20) 유(酉)가 든 날 得酉
21) 자(子)·묘(卯)·해(亥)가 3번씩 든 해 三子、 三卯、 三亥
22) 전본명(田本命, 농지신의 생일) 田本命
23) 3일의 바람 初三風
24) 8일의 맑음 上八晴
25) 해그림자와 달그림자 日月影
26) 삼성(參星) 살피기 看參星
27) 꽃날의 맑음 花朝晴
28) 낙등(落燈, 등 내리는 날) 밤 落燈夜
29) 입문풍(入門風) 入門風
30) 추수일(秋收日) 秋收日
31) 갑(甲)이나 경(庚)이 든 날의 바람 甲、 庚日風
32) 비내리는 횟수 세기 比數雨
33) 3백(三白, 3번 내리는 눈) 三白
34) 뽕잎 가격 桑貴賤
35) 물 무게 재기 秤水

2. 2월점 二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경칩의 징후 驚蟄日候
5) 춘분의 징후 春分日候
6) 사일(社日)의 징후 社日日候
7) 상공일(上工日) 上工日
8) 상산기(上山旗)와 하산기(下山旗) 上下山旗
9) 밤비 두려운 날 ?夜雨
10) 권농일(勸農日) 勸農日
11) 황고(黃姑)가 씨앗 담그는 날(황고침종일) 黃姑浸種日
12) 관음보살의 생일(관음생일) 觀音生日
13) 소분룡(小分龍) 小分龍

3. 3월점 三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청명의 징후 淸明日候
5) 곡우의 일진 穀雨日辰
6) 곡우의 징후 穀雨日候
7) 한식(寒食)의 징후 寒食日候
8) 3일의 징후 三日日候
9) 3묘(三卯, 3번의 묘일) 三卯
10) 맥류의 생일(맥생일) 麥生日
11) 황고가 씨앗 담그는 날(황고침종일) 黃姑浸種日

4. 4월점 四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하의 일진 立夏日辰
5) 입하의 징후 立夏日候
6) 소만(小滿)의 징후 小滿日候
7) 3묘(三卯) 三卯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벼의 생일(도생일) 稻生日
10) 초파일의 날씨 初八陰晴
11) 해와 달의 마주 비춤 日月對照
12) 16일의 맑음이나 비 十六晴雨
13) 뜨는 달 살피기 看月上
14) 달그림자 측정 量月影
15) 소분룡(小分龍) 小分龍

5. 5월점 五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달의 크기 月大小
5) 망종의 일진 芒種日辰
6) 망종의 징후 芒種日候
7) 망종의 여러 점 芒種雜占
8) 하지의 일진 夏至日辰
9) 하지일 징후 夏至日候
10) 하지의 여러 점 夏至雜占
11) 단오의 징후 端午日候
12) 진(辰)이 든 날 得辰
13) 3묘(三卯) 三卯
14) 벼의 운세(화본명) 禾本命
15) 대분룡(大分龍) 大分龍
16) 쇄룡문 鎖龍門
17) 삼시(三時)의 바람과 비 三時風雨
18) 금뢰천(禁雷天, 천둥을 꺼리는 시기) 禁雷天

6. 6월점 六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초하루의 간지 朔日干
5) 소서의 징후 小暑日候
6) 삼복의 징후 三伏日候
7) 3일의 맑음이나 비 初三晴雨
8) 담력이(湛?耳) 湛?耳
9) 유두일의 천둥 流頭日雷

7. 7월점 七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추의 일진 立秋日辰
5) 입추의 징후 立秋日候
6) 입추의 여러 점 立秋雜占
7) 처서(處暑)의 징후 處暑日候
8) 칠석(七夕)의 징후 七夕日候
9) 3묘(三卯) 三卯
10) 총총히 뜬 별[滿斗, 만두] 滿斗
11) 교간(?竿) 생일 ?竿生日
12) 발우 씻는 비[洗鉢盂, 세발우] 洗鉢盂
13) 달 뜨는 시간 月上早遲

8. 8월점 八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큰달[月大盡] 月大盡
5) 백로의 일진 白露日辰
6) 추분의 일진 秋分日辰
7) 추분의 징후 秋分日候
8) 중추절(中秋節)의 징후 中秋日候
9) 추사일(秋社日)의 비 社日雨
10) 3묘(三卯)와 3경(三庚, 3번의 경일) 三卯三庚
11) 초하루의 맑음과 비 朔日晴雨
12) 달빛으로 징후 살피기 候月色
13) 거칠게 내리는 비(횡강우) 橫降雨
14) 소금 생일(염생일) 鹽生日
15) 16일 밤의 달 十六夜月
16) 볏짚[稻藁] 생일(도고생일) 稻?生日

9. 9월점 九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9일의 징후 九日日候
5) 조의 가격 粟貴賤
6)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7) 둥구미[稻蘿] 생일(도라생일) 稻蘿生日
8) 상묘일(上卯日) 바람 上卯風

10. 10월점 十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동의 징후 立冬日候
5) 입동의 여러 점 立冬雜占
6) 소설의 징후 小雪日候
7) 3묘(三卯)와 임자(壬子) 三卯壬子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오풍(五風)의 기약(오풍신) 五風信
10) 추위할미[寒婆] 생일(한파생일) 寒婆生日
11) 액우(液雨) 液雨

11. 11월점 十一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동지의 징후 冬至日候
5) 동지의 여러 점 冬至雜占
6) 임(壬)이 든 날 得壬
7) 세로(歲露) 歲露
8)아미타불 생일(아미생일) 彌陀生日

12. 12월점 十二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대한과 소한의 징후 大、小寒日候
5) 섣달 그믐날의 징후 除日日候
6) 섣달 그믐날의 여러 점 除日雜占
7) 세밑 입춘 殘年立春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밭 비추는 누에(照田蠶, 조전잠) 照田蠶
10) 대금월(大禁月) 大禁月

위선지 권제2

풍흉과 길흉의 예측(중) 候歲(中)
1. 하늘로 점치다 占天
1) 하늘의 빛깔 天色
2) 하늘의 기운 天氣
3) 하늘의 울림 天鳴
4) 하늘의 갈라짐 天裂
5) 하늘의 미소[天笑] 天笑

2. 땅으로 점치다 占地
1) 땅의 이상 현상 地異

3. 해로 점치다 占日
1) 일식(日食) 日食
2) 햇무리[日暈, 일훈] 日暈
3) 해귀고리[日珥, 일이]와 일제(日提) 日珥、日提
4) 해의 빛깔(일색) 日色
5) 해 옆의 구름 기운(일방운기) 日旁雲氣
6) 해의 이상 현상[日異, 일이] 日異

4. 달로 점치다(점월) 占月
1) 월식 月食
2) 달무리(월훈) 月暈
3) 달고리(월이) 月珥
4) 달의 빛깔 月色
5) 달의 침범 凌犯
6) 달 옆의 구름 月傍雲氣
7) 달의 이상 현상(월이) 月異

5. 바람으로 점치다 占風
1) 8풍(八風) 八風
2) 해로운 바람(적풍) 賊風
3) 바람 부는 방위 風起方
4) 바람 부는 날의 일진 風起日辰

6. 비로 점치다 占雨
1) 갑자일의 비(갑자우) 甲子雨
2) 사묘(四卯)의 비(사묘우) 四卯雨
3) 임자(壬子)일의 비(임자우) 壬子雨
4) 신(申)이 든 날의 비(신일우) 申日雨
5) 사계절의 비(사시우) 四時雨
6) 5개월간 초하루의 비(오삭우) 五朔雨
7) 밤비 夜雨
8) 기이한 비(우이) 雨異

7. 구름으로 점치다 占雲
1) 초하루의 구름(월삭운) 月朔雲
2) 구름의 모양 雲形
3) 구름의 빛깔 雲色
4) 별자리에 드는 구름(운입성수) 雲入星宿

8. 안개나 노을로 점치다 占霧霞
1) 자(子)가 든 해의 안개(자년무) 子年霧
2) 사계절의 안개(사시무) 四時霧
3) 여섯 천간이 든 날의 안개(육간일무) 六干日霧
4) 종일 끼는 안개(종일무) 終日霧
5) 호수의 안개(호중무) 湖中霧
6) 천지의 흙비(천지매) 天地?
7) 상고대(몽송) ?淞
8) 노을의 모양 霞形

9. 무지개로 점치다 占虹
1) 5가지 무지개(오홍) 五虹
2) 각 절기의 무지개(절기홍) 節氣虹
3) 사계절의 무지개(사시홍) 四時虹
4) 무지개 뜨는 방위 虹出方
5) 무지개의 모양 虹形
6) 무지개의 빛깔 虹色

10. 천둥이나 번개로 점치다 占雷電
1) 사계절의 천둥 四時雷
2) 천둥 소리 雷聲
3) 천둥 일어나는 방위 雷起方
4) 천둥 일어나는 날의 일진 雷起日辰
5) 맑은 날의 천둥 晴雷
6) 여름 번개 夏電

11. 서리나 이슬로 점치다 占霜露
1) 봄이나 겨울 서리 春冬霜
2) 하루아침 서리(고상) 孤霜
3) 때아닌 서리 非時霜
4) 서리가 내리지 않으면 霜不降
5) 서리의 징후 霜候
6) 이슬이 만물을 적시면 露潤物

12. 눈으로 점치다
1) 삼백(三白) 三白
2) 1척 쌓인 눈(영척설) 盈尺雪
3) 봄과 가을의 눈 春秋雪
4) 눈이 녹지 않으면 雪不消

13. 우박으로 점치다 占雹
1) 사계절의 우박 四時雹

14. 얼음으로 점치다 占氷
1) 사계절의 얼음 四時氷
2) 물을 불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는 얼음 長水退水氷
3) 얼음이 세 차례 녹으면(빙삼반) 氷三泮

15. 은하수로 점치다 占天河
1) 은하수의 별 漢中星
2) 은하수의 구름 漢中雲

16. 초목으로 점치다 占草木
1) 먼저 난 풀 草先生
2) 오목(五木, 다섯 나무) 五木
3) 오곡초(五穀草) 五穀草
4) 줄풀(교초) ?草
5) 간과초(看?草) 看?草
6) 들장미 野薔薇
7) 봉선화 鳳仙花
8) 수화괴(水花魁) 水花魁
9) 끼무릇(반하) 半夏
10) 뇌심(雷?, 우레버섯) 雷?
11) 토란 芋
12) 아욱 葵
13) 광나무[冬靑, 동청] 冬靑
14) 복숭아나무나 자두나무 桃、李
15) 살구나무나 대추나무 杏、棗
16) 밤나무 栗
17) 가래나무[楸] 楸
18) 버드나무 楊柳
19) 회화나무 槐
20) 오동나무 梧桐
21) 구기자나무 杞
22) 박달나무 檀
23) 익지(益智) 益智
24) 영산홍 映山紅
25) 대나무 竹
26) 나무에 꽃이 다시 피면 木再花

17. 곡식으로 점치다 占穀
1) 그해에 알맞은 곡식 歲所宜
2) 벼 稻
3) 맥류 麥
4) 납작콩 扁豆
5) 수수 蜀黍

18. 짐승들로 점치다 占禽獸
1) 까치 鵲
2) 소쩍새[鼎小鳥] 鼎小鳥
3) 제비 燕
4) 사다새 ??
5) 물새 水鳥
6) 기이한 새 異鳥
7) 쥐 鼠
8) 들쥐 野鼠
9) 수달 獺

19. 벌레나 물고기로 점치다 占蟲魚
1) 개구리 蛙
2) 파리 蠅
3) 누에 蠶
4) 개똥벌레 螢
5) 매미 蟬
6) 책맹(??)과 잠자리 ??、??
7) 뱀 蛇
8) 물고기가 뿌린 알 魚散子
9) 잉어 鯉
10) 붕어 ?
11) 전어(?魚) ?魚
12) 나어(魚) 魚
13) 날치[文?, 문요] 文?
14) 가오리[海?, 해요]와 백대어[白袋] 海?、白袋
15) 용 龍

20. 역일(曆日, 날짜)로 점치다 占曆日
1) 한 해에 초하루 천간이 3번 같은 경우(세간삼삭) 歲干三朔
2) 3번의 만두(3만두) 三滿斗
3) 금신(金神) 金神

21. 부록 곡식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耕播宜忌日
21-1. 밭일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田事宜忌日| 21-2. 밭갈이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耕田宜忌日| 21-3. 밭에 거름주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壅田宜忌日| 21-4. 밭 사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燒田宜忌日| 21-5. 황무지 개간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開荒宜忌日| 21-6. 종자 담그기에 길한 날 浸種吉日| 21-7. 씨뿌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播種宜忌日| 21-8. 육갑(六甲)에 따라 경작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六甲種作宜忌日| 21-9. 월별 경작하기에 길한 날 遂月種作吉日| 21-10. 경작할 때 새나 벌레가 먹지 않는 날 種作禽蟲不食日| 21-11. 경작할 때 벌레 없는 날 種作無蟲日| 21-12. 수확하지 못하게 되는 날 不收日| 21-13. 제대로 여물지 않게 되는 날 不成日 | 21-14. 좀벌레 쏠게 되는 날 ?日| 21-15. 황무지가 되게 되는 날 荒蕪日| 21-16. 전흔(田痕, 파종하기에 흉함)일 田痕日| 21-17. 구초일(九焦日) 九焦日| 21-18. 농가에서 두루 피할 날 田家通忌日| 21-19. 벼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稻宜忌日| 21-20. 기장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黍宜忌日| 21-21. 검은기장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宜忌日| 21-22. 조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粟宜忌日| 21-23. 맥류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麥宜忌日| 21-24. 메밀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蕎麥宜忌日| 21-25. 콩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豆宜忌日| 21-26. 삼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麻宜忌日| 21-27. 마당 널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置場宜忌日| 21-28. 곡간 수리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修倉宜忌日| 21-29. 곡간에 곡식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入倉宜忌日| 21-30. 도정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變宜忌日

22. 부록 채소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治圃宜忌日
22-1. 채소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蔬宜忌日| 22-2. 오이류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瓜宜忌日| 22-3. 생강 심기에 길한 날 種薑吉日| 22-4. 토란 심기에 길한 날 種芋吉日| 22-5. 파 심기에 길한 날 種?吉日| 22-6. 마늘 심기에 길한 날 種蒜吉日

23. 부록 나무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種植宜忌日
23-1. 나무 심기에 길한 절기 種植吉節| 23-2. 나무 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種植宜忌日| 23-3.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날벌레 안 먹는 날 種花果飛蟲不食日| 23-4.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좀벌레 피하는 날 種花果避?日

24. 부록 누에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養蠶宜忌日
24-1. 누에씨 씻기, 누에떨기, 누에시렁 안치기, 광주리에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浴蠶、出蠶、安?、入筐宜忌日| 24-2. 잠실이 피할 방위 蠶室忌方| 24-3. 누에똥 털기에 길한 방위 出蠶沙吉方

25. 부록 가축 기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畜牧宜忌日
25-1. 외양간 짓기에 좋거나 흉한 년월일 作牛牢吉凶年月日| 25-2. 소 사기, 소 데려오기, 소 내거나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牛取牛出納牛宜忌日| 25-3. 소 코뚜레 뚫기와 소 길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穿牛宜忌日| 25-4. 마구간 짓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作馬枋宜忌日| 25-5. 말 사기, 말 데려오기, 말 내거나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馬取馬出納馬宜忌日| 25-6. 말 길들이거나 망아지 훈련시키기에 길한 날 伏馬習駒吉日| 25-7. 말 방혈(放血)하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放馬血宜忌日 | 25-8. 돼지우리 수리하거나 짓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修作猪牢宜忌日| 25-9. 돼지 사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猪宜忌日| 25-10. 돼지 내거나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出納猪宜忌日| 25-11. 양 우리 짓기에 길한 날 作羊棧吉日| 25-12. 양 사거나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羊納羊宜忌日| 25-13. 고양이 데려오기에 길한 날 取猫吉日| 25-14. 개 사거나 데려오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犬取犬宜忌日| 25-15. 닭·거위·오리 둥지 수리하거나 짓기에 길한 날 修作鷄、鵝、鴨棲吉日| 25-16. 닭·거위·오리 사기나 닭 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鷄、鵝、鴨出鷄宜忌日| 25-17. 육축 사기, 길들이기, 내거나 들이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買六畜, 調六畜, 出納六畜宜忌日

26. 부록 사냥이나 물고기잡이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佃漁宜忌日
26-1. 물고기잡이나 사냥에 좋은 날과 피할 날 漁獵宜忌日| 26-2. 그물 펼쳐 짐승 잡기에 좋은 날과 피할 날 張捕宜忌日| 26-3. 물고기잡이에 좋은 날과 피할 날 捉魚宜忌日

저자소개

서유구 , 임원경제연구소

출판사리뷰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위선지〉 전체는 단순한 천문서와 기상관측서가 아니다. 농사와 직간접적으로 연관 고리가 있는 기상 현상, 천문 현상, 동식물이 보여주는 자연 현상을 통해 앞으로 닥쳐올 농사 관련 미래를 ‘점쳐서 예측하는 책[占候書, 점후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서유구는 중국의 고대로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전해 내려오는 천문서와 농서를 비롯하여, 경서(經書)·사서(史書)·유서(類書)·점서(占書)·병서(兵書) 및 민간 자료 등에서 농사일에 도움이 될 만한 천문과 기상 자료를 선별하고, 재배치했다. 그리고 이를 압축하는 편찬 방식을 동원해 농가에 유효한 점후서로 집대성했다.

〈위선지〉에도 현대적 과학지식을 기준으로 보면 터무니없어 보이거나 잘못된 점도 적지 않다. 하지만 터무니없어 보이는 내용 이면을 잘 들여다보면 선현들의 합리적인 사유가 번뜩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