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역주 설문해자주 2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역주 설문해자주 2
정가 ₩38,000
판매가 ₩34,2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전통문화연구회
ISBN 9791157945405
출간일 20221130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역주 설문해자주 2 수량증가 수량감소 342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고대문화의 보고(寶庫)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는 후한 때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청나라 단옥재(段玉裁, 1735~1815)가 30여 년에 걸쳐 해설을 달아 완성한 한자 형성의 비밀을 밝힌 역사적 명저이다. 《설문해자주》는 한자의 생성원리 외에도 다양한 고대문화를 담고 있다. 예컨대 표제자 ‘艾’자의 단옥재 주석에 “장화의 《박물지》에 ‘얼음을 둥글게 깎아 해를 향하여 높이 들고, 마른 쑥을 그 그림자에 갖다 대면 불을 붙일 수 있다.’라고 하였다.[見釋艸 張華博物志曰 削?令圓 ?以向日 以艾於後承其影 則得火]”라는 구절이 있다. 장화는 약 2,000년 전 진(晉)나라(232~300) 때 사람임에도 이미 둥글게 깎은 얼음에 햇빛을 굴절시켜 초점을 맞추면 불을 붙일 수 있다는 돋보기의 과학적 원리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밖에 《설문해자주》에는 물명(物名)과 초명(初名) 등 다양한 고대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훌륭한 고대문화의 보고임이 확실하다.

목차

目 次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 5
解 題 / 12

第2卷
說文解字注 第2篇 下
【011. ?部】
?[싹틀/철] / 19
屯[어려울/둔] / 21
每[풀이 무성하게 솟아오를/매] / 22
毒[두터울/독] 【重文1】 / 23
?[향기/분] 【重文1】 / 24
??[버섯/륙] 【重文1】 / 25
熏[연기 올라갈/훈] / 26

【012. 艸部】
艸[온갖 풀/초] / 27
莊[큰 풀/장] 【重文1】 / 28
?[풀 열매/라] / 28
芝[신령한 버섯/지] / 30
?[상서로운 풀/삽] / 30
?[상서로운 풀/보] / 31
?[붉은 곡식 싹/문] / 31
?[좀콩/답] / 32
?[콩 줄기/기] / 32
??[어린 콩 싹/곽] / 33
?[녹곽 열매/뉴] / 33
?[어린 강아지풀/랑] 【重文1】 / 34
?[강아지풀/유] / 35
?[삼씨/비] 【重文1】 / 36
?[암삼/자] / 37
?[암삼/이] / 37
蘇[차조기/소] / 38
荏[차조기/임] / 38
?[채소이름/시] / 39
?[미나리/기] / 39
葵[아욱/규] / 40
?[생강/강] / 40
蓼[여뀌/료] / 41
?[채소이름/조] / 42
??[채소이름/거] / 43
薇[채소이름/미] 【重文1】 / 44
?[채소이름/유] / 44
?[채소이름/근] / 45
?[채소이름/양] / 46
?[비름나물/현] / 46
芋[토란/우] / 47
?[토란/거] / 48
?[패랭이꽃/거] / 49
菊[대국/국] / 49
?[훈채/훈] / 50
?[양하/양] / 51
菁[구화/청] / 52
蘆[무/로] / 52
?[무/복] / 52
?[개구리밥/평] / 53
?[풀이름/신] / 54
?[큰 개구리밥/빈] / 54
藍[쪽/람] / 54
?[원추리, 망우초/훤] 【重文2】 / 55
??[궁궁이/궁] 【重文1】 / 55
?[궁궁이/궁] / 56
蘭[향초/란] / 56
?[향기로운 풀/간] / 57
?[생강/유] / 57
?[환란/환] / 58
?[구릿대/효] / 58
?[구릿대/리] / 60
?[구릿대/채] / 60
?[구릿대/미] / 61
薰[향초/훈] / 61
??[물에서 자라는 마디풀/독] / 61
?[마디풀/편] / 62
??[마디풀/축] / 63
?[향초/걸] / 63
?[향초/걸] / 64
?[마매/매] / 64
?[풀이름/각] / 64
?[감초/감] / 65
?[풀이름/저] / 65
藎[풀이름/신] / 66
?[풀이름/술] / 66
?[인동초/인] / 67
?[다래/장] / 67
?[엉겅퀴/계] / 67
?[풀이름/리] / 68
?[바꽃/조] / 68
?[바꽃/급] / 70
?[산딸기/전] / 70
?[독초/무] / 70
?[인삼/삼] / 72
?[순채/란] / 72
?[풀이름/려] / 73
?[당아욱/교] / 74
??[쑥/비] / 74
?[풀이름/우] / 74
?[풀이름/제] / 75
??[풀이름/설] / 75
苦[대고/고] / 76
菩[풀이름/배] / 78
??[율무/의] / 79
茅[띠풀/모] / 79
菅[띠풀/간] / 80
?[풀이름/기] / 81
莞[왕골/완] / 82
藺[골풀/린] / 82
?[까마중/제] / 83
蒲[물풀/포] / 83
蒻[애기부들/약] / 84
??[부들싹/심] / 85
?[익모초/퇴] / 85
?[복분자/규] / 86
?[큰 마름/군] / 87
??[왕골/완] / 88
?[왕골 윗부분/력] / 88
?[질경이/이] / 89
蕁[지모/담] 【重文1】 / 90
??[풀이름/격] / 91
?[물억새/구] / 91
?[풀이름/고] / 92
??[볏집/간] / 92
藷[사탕수수/저] / 92
蔗[사탕수수/자] / 93
??[볏짚줄기/낭] / 93
?[풀이름/저] / 93
??[풀이름/사] / 94
??[풀이름/충] / 94
?[쥐참외/부] / 94
?[풀이름/요] / 95
??[풀이름/현] / 95
??[풀이름/유] / 95
莩[풀이름/부] / 95
?[토과/인] / 96
?[말먹이 풀/병] / 96
?[물가에서 자라는 풀/유] / 96
?[풀이름/안] / 97
?[토부/기] / 97
?[토규/희] / 98
??[관투/몽] / 98
?[금불초/복] / 99
?[도꼬마리/령] / 99
??[풀이름/공, 감] / 99
?[경모/경] / 100
?[채소이름/부] / 100
?[채소이름/복] / 101
?[소루쟁이/수] / 101
?[소루쟁이/적] / 102
??[풀이름/탕] / 102
?[머루/욱] / 103
?[쪽/침] / 105
??[풀이름/로] 【重文1】 / 105
??[풀이름/괴] / 106
蔞[풀이름/루] / 107
?[풀이름/류] / 107
?[애기풀/원] / 109
?[염료풀/자] / 109
??[염료풀/막] / 110
?[독초/즉] / 110
蒐[꼭두서니/수] / 111
?[꼭두서니/천] / 112
??[풀이름/사] / 112
?[줄사철나무/벽] / 112
?[억새/망] / 113
苞[풀이름/포] / 113
艾[쑥/애] / 115
?[풀이름/장] / 115
芹[미나리/근] / 116
?[염초/진] / 116
?[기생하는 풀/조] 【重文1】 / 116
芸[풀이름/운] / 117
?[풀이름/최] / 118
?[풀이름/률] / 118
?[풀의 가시/책] / 119
?[박/괄] / 119
?[순무/봉] / 120
薺[남가새/제] / 121
?[풀의 가시/자] / 122
?[연 뿌리/동] / 122
?[풀이름/계] / 123
??[풀/수] / 123
?[약초/하] / 124
?[가위톱/렴] 【重文1】 / 125
?[약재이름/금] / 125
芩[풀이름/금] / 125
?[쥐눈이콩/표] / 126
??[명주끈 풀/역] / 127
?[마름/릉] 【重文1】 / 128
?[마름/기] 【重文1】 / 129
?[마름/해] / 129
?[마름/구] / 130
?[가시연꽃/검] / 130
?[국화/국] 【重文1】 / 131
?[귀리/약] / 132
?[띠풀/속] / 133
??[띠의 이삭/사] / 134
?[물억새/겸] / 134
?[물억새/완] / 135
??[물억새/담] 【重文1】 / 136
?[갈대/렴] / 137
?[향초/번] / 137
?[창포/앙] / 138
?[창포/야] / 138
?[갈대 이삭/초] / 139
?[갈대 이삭/렬] / 140
?[연꽃/함] / 140
??[연꽃/담] / 141
蓮[연밥/련] / 142
茄[연 줄기/가] / 143
荷[연 잎/하] / 143
?[연 뿌리/밀] / 145
?[연 밑동/우] / 145
?[풀이름/롱] / 146
蓍[시초/시] / 147
?[제비쑥/긴] 【重文1】 / 148
莪[쑥/아] / 149
蘿[쑥/라] / 149
?[쑥/림] / 150
蔚[쑥/위] / 150
蕭[쑥/소] / 151
萩[쑥/추] / 152
芍[올방개/작] / 152
??[댑싸리/전] / 153
蔿[풀이름/위] / 153
?[풀이름/침] / 154
?[국화/국] / 154
?[장미/장] / 154
?[지모/기] / 155
?[자완/완] / 155
?[패모/맹] / 156
??[삽주 뿌리/출] / 157
蓂[석명/명] / 157
?[오미자/미] / 158
?[오미자/지] / 158
葛[칡/갈] / 159
蔓[칡의 종류/만] / 159
?[풀/고] / 160
?[노랑어리연꽃/행] 【重文1】 / 160
?[노랑어리연꽃/접] / 161
??[풀이름/곤] / 162
?[여뀌/원] / 162
?[감초/령] / 163
?[돌피/제] / 163
?[돌피/질] / 164
?[구장/정] / 165
蔣[줄/장] / 165
苽[줄/고] / 166
??[풀이름/육] / 167
?[풀이름/파] / 167
?[풀이름/연] / 167
?[풀이름/랑] / 168
?[풀이름/요] / 169
?[풀이름/과] / 169
菌[버섯/균] / 170
?[뽕나무버섯/심] / 171
?[목이버섯/연] / 171
?[오디/심] / 173
?[열매/구] / 173
?[풀이름/비] / 175
蕣[무궁화/순] / 175
茱[수유/수] / 177
萸[교목/유] / 178
?[후추/초] / 178
?[살초 열매/구] / 179
?[가시나무/형] 【重文1】 / 180
?[물이끼/태] / 180
芽[새싹/아] / 181
萌[초목의 싹/맹] / 181
茁[풀이 처음 나오는 모양/줄] / 182
莖[초목의 줄기/경] / 183
?[줄기/정] / 183
葉[초목의 잎/엽] / 184
??[작은 풀/예] / 184
?[꽃이 무성할, 질경이/부] / 184
?[꽃/파] / 185
?[풀이 무성할/유] / 186
?[노란꽃/휴] / 186
?[능소화, 초목의 끄트머리/표] / 187
英[꽃피고 열매 맺지 못할/영] / 188
?[꽃이 무성할/이] / 189
?[풀이 무성할/처] / 189
?[풀이 무성할/봉] / 190
?[무성할/의] / 190
?[초목의 꽃 드리워질/유] / 191
?[가는 나뭇가지/종] / 192
?[풀 시들/이] / 192
?[초목의 모양/원] / 193
莢[풀열매/협] / 193
??[까끄라기/망] / 194
?[쪽풀 이삭/우] / 194
?[오이꼭지/체] / 194
?[풀뿌리/해] / 196
?[풀뿌리/윤] / 196
?[풀 뿌리, 흰꽃이 피는 풀/발] / 197
?[풀 무성한 모양/봉] / 198
??[꽃과 잎이 펴질/부] / 199
?[초목이 자라지 않을, 띠풀 뿌리/집] / 200
?[풀이 많은 모양/은] / 200
茂[초목 무성할/무] / 201
??[풀 무성할/창] / 201
蔭[풀이 땅을 덮은 것/음] / 201
?[풀 모양, 섞일/추] / 202
?[초목 무성할/자] / 203
??[풀이 말라 죽을/적] / 204
?[풀 모양/효] / 205
?[풀이 많은 모양/기] / 206
?[풀 많은 모양/자] / 206
?[풀 무성한 모양/진] / 207
?[헝클어진 풀 모양/소] / 207
芮[풀이 부드럽고 가늘/예] / 208
?[풀 모양/치] / 208
?[풀이 많은 모양/회] / 209
?[가는 풀이 무더기로 날/무] / 209
芼[풀 우거질/모] / 210
蒼[푸를/창] / 211
?[풀이 바람을 맞은 모양/람] / 211
萃[풀 모양/췌] / 211
蒔[다시 따로 심을/시] / 212
苗[풀이 밭에서 자랄/묘] / 212
苛[작은 풀/가] / 214
蕪[거칠/무] / 214
?[거칠/예] / 214
荒[거칠/황] / 215
??[풀이 어지러울/쟁] / 215
??[풀이 어지러운 모양/녕] / 216
落[나뭇잎 질/락] / 216
蔽[작은 풀/폐] / 216
?[낙엽질/택] / 217
?[쌓을/온] / 218
?[시들/언] / 218
?[향기나는 풀, 시들/어] / 218
??[풀이 엉킬/영] / 219
蔡[풀 흐트러질/채] / 220
?[풀잎 많을/벌] / 220
菜[나물/채] / 221
?[풀잎이 많은 모양/이] / 221
?[풀이 물에 떠 있을/범] / 222
薄[숲이 빽빽할, 잠박/박] / 222
苑[짐승을 기르는 곳/원] / 223
藪[큰 늪/수] / 224
?[묵정밭/치] 【重文1】 / 227
??[풀이 무성할/요] / 229
?[풀을 벨/체] / 230
?[풀이 많을/뢰] / 231
?[풀이 클/도] / 231
?[풀 우거질/점] 【重文1】 / 232
?[풀이 많아 다니지 못할/불] / 232
苾[향기로울/필] / 233
?[향기로운 풀/설] / 233
芳[향기로운 풀/방] / 234
?[여러 향이 나는 풀/분] / 234
藥[병을 치료하는 풀/약] / 235
?[초목이 나서 땅에 달라붙을/려, 리] / 235
蓆[넓고 많을/석] / 236
芟[풀 벨/삼] / 237
?[겹자리/천] / 237
藉[제사 깔개/자, 적] / 238
?[띠풀 자리/조] / 239
?[띠풀을 묶어 자리를 표시할/절, 최, 찬] / 240
茨[띠풀로 지붕을 올릴/차] / 241
葺[지붕 올릴/집] / 242
蓋[이엉/개] / 242
?[덮개/점] / 242
?[덮개/애] / 243
?[쓸어버릴/굴] / 243
藩[가릴/번] / 244
菹[초절임 채소/저] 【重文2】 / 244
?[겨자 무침/전] / 245
?[부추절임/고] / 246
?[오이 절임/람] / 246
?[절임/지] 【重文1】 / 246
?[말린 매실/료] 【重文1】 / 247
??[전수유/의] / 247
?[국거리 나물/자] / 248
若[채소 고를, 두약/약] / 249
蓴[부들 포기/순] / 249
??[풀로 빈 곳을 메울/체, 협] / 250
?[무성한 풀/준] / 251
?[김매는 도구/조] / 251
?[도롱이, 상복/비] / 252
??[풀이름/시] / 252
?[신바닥 깔창 풀/저] / 253
??[짚신/추] / 253
?[삼태기/궤] 【重文1】 / 254
??[덮을/침] / 254
茵[수레 안에 까는 겹자리/인] 【重文1】 / 255
芻[베어 놓은 꼴/추] / 255
?[마른 꼴/교] / 256
?[어지럽게 난 풀/보] / 256
茹[말에게 여물 먹일/여] / 257
?[썰어 놓은 마른 꼴/좌] / 257
萎[소에게 여물 먹일/위] / 257
?[곡물이 섞여 있는 여물/책] / 258
?[잠박/곡] / 258
?[누에섶/족] / 259
?[횃불/거] / 259
?[풀을 베어 말린 땔감/요] / 259
薪[풀을 베어 말린 땔감/신] / 260
蒸[껍질을 벗긴 삼대/증] 【重文1】 / 260
蕉[생마, 파초/초] / 261
??[똥/시] / 262
?[묻을, 메울/매] / 263
??[상중의 거적자리/점] / 263
?[꺾을/절] 【重文2】 / 263
卉[풀의 총칭/훼] / 264
?[도읍에서 먼 황량한 곳/구] / 265
蒜[훈채/산] / 265
芥[채소이름/개] / 268
蔥[채소이름/총] / 268
?[풀이름/육] / 268
?[두루미냉이/전] / 269
苟[풀이름/구] / 269
蕨[고사리/궐] / 270
莎[사초/사] / 270
?[개구리밥/평] / 271
?[풀이름/근] / 272
菲[순무/비] / 272
?[순무/물] / 273
??[풀이름/연] / 273
??[물억새/환] / 274
葦[큰 갈대/위] / 274
?[이삭 패지 않은 큰 갈대/가] / 275
萊[명아주/래] / 275
?[풀이름/려] / 275
蒙[왕녀/몽] / 276
?[물풀/조] 【重文1】 / 277
菉[조개풀/록] / 278
?[풀이름/조] / 278
??[풀이름/유] / 279
?[풀이름/초] / 279
?[풀이름/오] / 279
范[풀이름/범] / 280
?[풀이름/잉] / 280
?[풀이름/혈] / 281
萄[풀이름/도] / 281
?[흰 차조/기] / 281
?[벗풀/속] / 282
?[풀이름/동] / 283
薔[여뀌/색] / 283
苕[풀이름/초] / 284
??[풀이름/무] / 284
?[풀이름/모] / 285
??[순채/류] / 285
?[씀바귀/도] / 286
??[흰 쑥/번] / 287
蒿[제비쑥/호] / 287
蓬[쑥/봉] 【重文1】 / 288
藜[풀이름/려] / 288
?[냉이씨/귀] / 288
?[풀이 무성한 모양/보] / 289
蕃[무성할/번] / 289
茸[풀이 무성하여 어지러운 모양/용] / 290
?[풀이 많은 모양/추] / 290
?[풀이 무성한 모양/전] / 291
?[풀이 무더기로 난 모양/총] / 291
草[상수리/초] / 292
?[겨릅대, 깔개/추] / 292
蓄[쌓을/축] / 293
?[밀어 올릴, 봄/춘] / 293

【013. ?部】
?[묵은 풀이 다시 자랄, 누에섶, 자리/욕] 【重文1】 / 295
?[김맬/호] 【重文2】 / 295

【014. ?部】
?[풀덤불/망] / 297
莫[해 저물/모] / 297
莽[개가 덤풀 속에서 토끼를 잘 쫓아갈/망] / 298
葬[장례할/장] / 298

[補 註]
出土文獻 補註 / 300

[附錄1] - 索引
1. 索引 凡例 / 387
2. 目次 標題字 音順索引 / 390
3. 綜合索引 / 397

[附錄2] - 參考資料
1. 參考書目 / 446
2. ≪說文解字≫ 학술회의 관련 자료
1) 영상(QR) / 449
2) 자료집(QR) / 449
3. 영문 소개 / 450

저자소개

허신 , 이충구, 임재완, 성당제, 김규선, 조성덕 , 단옥재, 원용준, 박재복, 김혁, 김정남

출판사리뷰

자형(字形)을 망라하다

《설문해자주》에는 표제자로 삼고 있는 소전(小篆) 외에도 ‘대전(大篆)’이라고 부르는 주문(?文), 고문(古文), 기자(奇字), 혹체자(或體字) 등 거의 모든 자형이 수록되어 있다. ‘소전’은 진(秦)나라 승상 이사(李斯)가 진시황에게 건의하여 ‘대전(大篆)’을 위주로 문자를 정리하면서, 글자에 따라 획을 줄이거나 자형을 변형하여 만든 표준 자형을 말한다. 주문은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 태사(太史) 주(?)가 《대전(大篆)》 15편을 썼는데, 이 책에 쓰인 자형의 글자를 말한다. 그리고 ‘고문’은 한나라 무제(武帝) 때 노나라 공왕이 자신의 정원을 넓히기 위해 공자가 살던 집을 허물던 중 벽 속에서 발견된 자료에 쓰여진 서체를 말한다. 그 외에도 기자는 《설문해자주》 전체에는 倉·?·?·無 네 글자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혹체자는 중문(重文)의 형태와 구조를 설명하면서 ‘혹종(或從)’이라고 표현한 글자를 말한다. 이외에도 세속에서 널리 쓰이는 속자(俗字) 등도 수록되어 있어 다양한 자형을 일람할 수 있다.

한자의 발음을 바로 잡다

한자(漢字)는 처음에는 ‘일자일음(一字一音)’에서 출발하였지만 한 글자에 여러 뜻을 표현하기 위해 발음을 달리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과 뜻이 서로 어긋나 어떠한 발음으로 읽어야 할지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컨대 조선 시대 정약전(丁若銓)이 유배 가서 지은 어보(魚譜) 곳인 ‘자산(玆山)’을 ‘현산’이라고 읽을 것인가, ‘자산’으로 읽을 것인가에 대해 지금도 명확하게 확정 짓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설문해자주》 ‘玆’자에서 “玆는 2개의 玄을 따르고 音은 ‘玄’이다.[?從二玄 音玄]”라고 하여, ‘玆’의 발음을 ‘현(玄)’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또한 《경전석문(經典釋文)》 〈춘추음의(春秋音義)〉에 “玆의 음은 ‘현(玄)’이다. 어느 본에는 또 ?로 되어 있다. 子와 絲의 반절로 뜻은 ‘흐리다’이다. 《字林》에는 ‘검다’라고 하였다.[音玄 本亦作? 子絲反 濁也 字林云 黑也]”라고 설명하고 있다. 자산(玆山)이 오늘날 흑산도(黑山島)임을 감안한다면 정약전의 《玆山魚譜》는 《자산어보》가 아닌 《현산어보》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