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나만의 글쓰기를 위한 국어사전 일일공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나만의 글쓰기를 위한 국어사전 일일공부
정가 ₩17,000
판매가 ₩15,3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태학사
ISBN 9791168102583
출간일 20240527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나만의 글쓰기를 위한 국어사전 일일공부 수량증가 수량감소 153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우리말 공부 하려면 국어사전이 최고라는데…
그 두껍고 지루한 국어사전을 어떻게 읽나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국어사전의 맛있는 재료들만을 엄선하여,
입체적으로 재구성한 우리말 한 상 차림!

좋은 문장을 쓰려는 이들을 위한 77일간의 유쾌한 우리말 여행
‘국어사전’으로 하는 우리말 공부

요즘은 글을 쓸 때 국어사전을 참고하는 사람이 드물다. 하지만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국어사전을 곁에 끼고 사전이 닳도록 보곤 했는데, 요즘 사람들은 사전을 찾아보거나 참고가 될 만한 좋은 글을 읽어 보지도 않고 컴퓨터 자판부터 두드리기 시작한다. 물론, 그렇게 해서 좋은 문장이 나온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마는, 그런 일은 결코 없다. 단 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려면, 표현하려는 말 하나하나의 참뜻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국어사전 일일공부』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쓰였다. 저자는 우리말보다는 국적 불명의 외국어, 비문을 무차별적으로 사용하는 세태, 그리고 우리말의 뼈대를 갉아먹는 외국어 문법의 침략을 안타까이 여겨, 표준국어대사전을 ㄱ부터 ㅎ까지 세 차례나 정독하고 이 책을 썼다.

‘국어사전’은 모든 단어를 가나다순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사실 그 방대하고 지루한 사전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는 것 자체도 어려울뿐더러, 완독한다 해도 우리말의 깊이와 맛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는 우리말의 다양한 맛을 전하기 위해 핵심적인 말들을 골라내고, 이와 관계 맺고 있는 다양한 단어와 표현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독자들을 우리말의 오묘한 세계로 이끈다. 신기하고 재미있는 말, 알아 두면 쓸데 있는 말, 늘 헷갈리는 말, 아는 말에 숨어 있는 모르던 표현,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한자어, 여러 뜻을 품고 있는 한 글자 말,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말, 이렇게 7가지 구성으로 쉽고 유쾌한 77일간의 우리말 공부 여행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신기한 말, 재미있는 말

1 가시버시
2 고라리와 경아리
3 보자기와 머구리
4 은근짜
5 가리산지리산
6 오그랑
7 난거지든부자, 난부자든거지
8 한강바지라기
9 고비, 고비판, 고비샅샅
10 가풀막진 또는 반비알진
11 헐수할수

알아 두면 쓸데 있는 말

12 직계존비속에서 결찌까지
13 연좌제와 겨린
14 데기, 뜨기, 내기, 쟁이
15 돌과 하릅
16 괴와 돝
17 1부터 무량대수까지
18 깨달음과 깨도
19 새알심
20 샛별, 개밥바라기, 어둠별
21 나룻배와 거룻배
22 고와 이
23 단속곳, 속속곳, 다리속곳

늘 헷갈리는 말

24 장사하는 장수
25 구렛나루? 구레나룻!
26 사단이냐, 사달이냐
27 가뭄과 가물
28 번개와 천둥, 벼락과 낙뢰
29 횅하건 휑하건
30 알로록달로록, 알록달록
31 개와 게
32 둥, 등, 들, 따위
33 -ㄹ게와 -ㄹ꼬
34 폼페이, 봄베이, 뭄바이

아는 말, 모르던 표현

35 가을
36 바람
37 서리
38 나이
39 냄새와 향기
40 살림살이
41 쌀과 죽
42 찬밥
43 곤두박질
44 흠과 무흠
45 노루
46 까치와 까마귀
47 도깨비

알고 보면 어렵지 않은 말

48 좌우명
49 이모지년二毛之年
50 염치와 파렴치
51 융단
52 잠식蠶食
53 금수禽獸와 축생畜生
54 화류花柳와 홍등紅燈
55 춘정春情과 추파秋波
56 육두문자
57 피차일반입니다!
58 공기公器냐, 춘와추선春蛙秋蟬이냐
59 식판과 반상
60 오장육부
61 행랑과 회랑

한 글자, 여러 가지 뜻

62 한
63 천天
64 맛
65 곰
66 메
67 쇠
68 정井
69 괘
70 줌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말

71 가위와 부추
72 진간장, 양조간장, 조선간장
73 달걀이냐, 계란이냐
74 노가다, 건깡깡이, 날탕
75 광어와 전어
76 천재거나 인재거나
77 바삐, 데바삐, 애바삐

도판 출처

저자소개

김흥식

출판사리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우리말 여행

·고라리 : 어리석고 고집 센 시골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경아리 : 예전에, 서울 사람을 약고 간사하다고 하여 비속하게 이르던 말.
예) 마음만 먹으면 똑똑하다는 경아리 몇 놈쯤은 단숨에 납청장으로 만드는 재간은 있소.

이 책의 2일차 여행에서 소개하는 ‘고라리’와 ‘경아리’는 보기 드문 신기한 우리말이기도 하거니와, 어감이 주는 재미가 있어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 책은 신기하고 재미있는 말들을 단편적으로 나열,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경아리’의 예문으로 제시된 문장에 나오는 ‘납청장(納淸場)’의 뜻(되게 얻어맞거나 눌려서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북도 정주의 납청시장에서 만드는 국수는 잘 쳐서 질기다는 데서 유래한다.)도 소개하고, 나아가 납청장보다 더 놀림거리가 되기 십상인 ‘뇟보’(천하고 더러운 사람), ‘바사기’(사물에 어두워 아는 것이 없고 똑똑하지 못한 사람을 놀림 조로 이르는 말)까지 알려 준다.

이 책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바사기’가 ‘팔삭(八朔)+이’가 변해서 된 표현이며, 그 자체로 나쁜 뜻이 아닌 ‘팔삭’(음력 팔월 초하룻날)이라는 말과, 이것이 부정적으로 변한 ‘팔삭둥이’(① 제달을 다 채우지 못하고 여덟 달 만에 태어난 아이. ② 똑똑하지 못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까지 알려 준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어떤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6가지(고라리, 경아리, 납청장, 뇟보, 바사기, 팔삭둥이)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그것도 국어사전의 정통한 풀이와 예문을 곁들여 가면서 말이다.

한편, 이 책은 상위 개념의 단어에서 하위 개념의 단어로 설명이 이어지면서 한 가지 말에서 파생된 다양한 말을 펼쳐 보여 주기도 한다. 예컨대 저자는 ‘쌀’이라는 단어에서 시작해서, 쌀이 아닌 곡식에 ‘쌀’을 붙이기도 하는 ‘보리쌀’, ‘좁쌀’이라는 말을 소개하고, 쌀의 또 다른 표현으로 ‘멥쌀’, ‘찹쌀’, ‘입쌀’이 있고(왜 ‘쌀’이 붙는 단어들은 대부분 앞에 ‘ㅂ’이 붙는지에 대한 설명도 곁들인다), 종류별 명칭으로는 ‘백미’, ‘현미’, ‘흑미’ 등이 있음을 알려 준다[‘희게 쓿은 멥쌀’이라는 백미의 뜻풀이에서 ‘쓿다’라는 말의 뜻과 함께 이 말이 지금은 ‘도정(搗精)’이라는 말로 사용되고 있음도 설명한다]. 설명은 쌀의 모태가 되는 ‘벼’와 그 껍질인 ‘겨’로 이어지고, 겨의 종류인 ‘왕겨’와 ‘쌀겨’까지 설명한 후[‘쌀겨’를 한자로 ‘미강(米糠)’이라고 하며, 여기에서 짜낸 기름이 ‘미강유(米糠油)’임도 설명한다] 쌀을 가지고 만든 ‘미음’, ‘죽’, ‘암죽’에 이른다. 마지막으로는 ‘죽’과 관련한 “죽을 쑤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죽도 밥도 안 되다”, “죽 떠먹은 자리”, “죽 쑤어 개 준다” 등의 관련 속담, 관용구까지 설명해 주니, 쌀에서 죽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다양한 단어와 표현들을 물 흘러가듯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 셈이다.

이처럼 《국어사전 일일공부》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우리말 여행을 이어 나간다. 총 77일간의 여행이지만 77개의 말이 아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수백 개의 단어와 표현, 관련 속담과 관용구들이 국어사전의 뜻과 용례, 어원과 함께 소개된다.

우리말 공부는 단순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이 책은 생활 속에서 할 법한 단순한 의문에서 시작되어 그에 대한 우리말을 찾아 나가는 경우가 많다.

‘해녀의 반대말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여 ‘해녀’에 해당하는 ‘잠녀(潛女)’와 ‘보자기’를 소개하고, ‘남자 보자기’라는 뜻이 있는 ‘해인(海人)’을 찾아내고, 보자기의 방언 ‘머구리’까지 알려 준다. 또한 ‘외출할 때 입는 옷과 집에서 입는 옷은 각각 뭐라고 할까?’에서 시작하여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난벌’, ‘든벌’, ‘난든벌’을 찾아내 소개하고, 요즘에는 ‘벌’을 ‘세트’가 대체하는 세태를 안타까워하며, ‘난’과 ‘든’이 들어가는 표현으로 ‘난사람’, ‘든손’, ‘난침모’, ‘든침모’, ‘난든집’을 알려 주며, 마침내는 ‘난거지든부자’(겉보기에는 거지꼴로 가난하여 보이나 실상은 집안 살림이 넉넉하여 부자인 사람)와 ‘난부자든거지’(겉보기에는 돈 있는 부자처럼 보이나 실 제로는 집안 살림이 거지와 다름없이 가난한 사람)라는 참으로 신기한 표현까지 소개한다.

‘한 살 된 아이는 돌쟁이라고 하는데, 한 살 된 동물은 뭐라고 할까?’라는 의문은 ‘하릅’(나이가 한 살 된 소, 말, 개 따위를 이르는 말)과 ‘한습’(말이나 소의 한 살)으로 이어지고, 이로부터 하릅강아지, 하릅망아지, 하릅비둘기가 유래했음을 알려 주고, ‘하릅강아지’와 ‘하룻강아지’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동물의 새끼를 부를 때 소는 송아지, 말은 망아지, 닭은 병아리 등으로 부르는데, 왜 고양이는 그런 명칭이 없을까?’ 하는 의문이 이끄는 설명도 흥미롭다. 예전에는 고양이를 가리키는 말 ‘괴’가 있었고 이 말에 새끼를 가리키는 말 ‘앙이’가 붙어 ‘고양이’가 되었다. 그러나 ‘고양이’가 새끼뿐 아니라 이 개체를 대체하는 표현이 되면서 ‘괴’는 사라졌다. 그러나 ‘괴’라는 말의 흔적은 일부 표현에 남아 있는데, “괴 다리에 기름 바르듯”(일을 분명하고 깔끔하게 처리하지 않고 슬그머니 얼버무려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괴 딸 아비”(고양이 딸의 아비라는 뜻으로, 그 내력을 도무지 알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괴발개발”(고양이의 발과 개의 발이라는 뜻으로, 글씨를 되는대로 아무렇게나 써 놓은 모양을 이르는 말) 등의 속담이나 관용구가 이를 설명해 준다는 것이다.

우리말 인문학

‘진간장’은 국어사전에 “① 오래 묵어서 아주 진하게 된 간장. ② 기름을 뺀 콩을 쪄서 볶은 밀가루와 섞고, 곰팡이 씨를 뿌려 메주 를 띄운 후, 소금물을 부어 6개월가량 발효시켜 짜낸 간장.”이라고 풀이되어 있는데, 오늘날 시장에 가 보면 간장 가운데 진간장이 가장 싸다. 그러니 오래 묵어 진하게 된 간장도, 6개월가량 발효시킨 간장도 아닐 듯하다. 이런 의문에서 ‘간장’에 대한 우리말 인문학은 시작된다.

저자는 우선 간장의 종류부터 살펴, 양조간장, 화학간장, 혼합간장, 개량간장의 뜻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우리가 전통적으로 담가 먹었던 방식, 즉 메주를 발효시켜 얻은 간장이 ‘양조간장’임을 설명한다. 그러나 오늘날 시중에서 ‘양조간장’이라는 명칭으로 파는 상품 대부분은 ‘메주를 발효시켜 얻은 간장’이 아니라, ‘기름을 뺀 콩과 밀가루로 만든 것’으로, 이마저도 양조(釀造)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화학간장에 양조간장을 일정 비율로 섞은 ‘혼합간장’을 양조간장이라 표기하여 판매함을 알려 준다. 설명은 진짜 양조간장, 즉 ‘조선간장’으로 옮겨 가, 앞서 살펴본 양조간장과 진간장 등은 모두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든 일본식 간장 즉 ‘왜(倭)간장’이었고, 우리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간장은 ‘조선간장’이었음을 알게 된다. ‘간장’이라는 말에 대한 공부가 ‘간장의 인문학’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저자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인간은 말로 드러나고, 인간이 만든 문명은 글로 드러난다.”고 하면서, “물이 귀해지면서 ‘돈을 물 쓰듯 쓰는 시대’가 지나갔듯, 글을 마구 쓰는 시대도 곧 지나갈 것이다. 마구 써 대는 글은 사람 대신 AI라는 기계가 대신할 테니 말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다 보면 진짜 글을 쓰는 사람만이 남을 텐데, “진짜 글을 쓰기 위해서는 한 단어 한 단어, 한 문장 한 문장에 담긴 뜻을 제대로 알아야” 하며, 이 책이 “자신의 사람됨을 솔직히 표현하려는 이들에게, 자신만의 글을 쓰고자 노력하는 이들에게 작은 보탬”이 될 것을 희망하고 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